2014년 갑오년(甲午年) 새해가 밝았습니다.메디포뉴스 애독자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함께하기를 기원 드립니다. 올해는 말의 해입니다. 말은 역동성, 강인함, 성공, 부 등 승승장구함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의료계와 약업계 앞에 놓인 각종 장애물들을 말처럼 힘차게 뛰어넘고 극복해나가는 한해가 됐으면 좋겠습니다.돌이켜보면 지난 한해는 의료계와 약업계 모두 어려운 한해를 보낸 것으로 기억됩니다.지난해 10월29일 보건복지부는 의사와 환자간의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였습니다. 이에 반대하는 2만 여명의 의사들이 12월15일 여의도에서 '의료제도 바로세우기 전국의사궐기대회'를 가졌습니다. 복지부는 의료산업의 발전을 위한다고 하지만 정작 의원급 의료기관의 몰락과 빅5로의 환자쏠림을 우려하는 의료계 민초 의사들의 반대는 만만치 않았습니다.올 해도 원격의료, 의료민영화, 저가약 대체조제 인센티브 등 의료를 왜곡하는 정책에 대한 의료계의 저항은 더욱 거세질 것입니다. 아무쪼록 의료계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건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정책이 선회하기를 바랍니다. 박근혜 정부가 대통령 공약사항 이행을 위해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3대 비급여 개
2012년, 임진년(壬辰年)의 여명이 밝아 오고 있다. 찬란한 태양은 보건의약계의 어둡고 긴 터널에도 광명과 희망을 반드시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정부의 건강보험 안정화정책에서 비롯된 각종 시책전환이 특히 올 해 단행될 시점이므로 의료기관과 제약회사들은 작년보다도 더욱 엄청난 고난과 시련에 휩싸일 것이 분명하다. 의료환경은 만성질환제로 둔갑한 선택의원제가 끝내 4월부터 시행될 시점에 놓여 있고 무려 27년간 갈망해 왔던 의료분쟁조정법은 햇빛을 보았지만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금까지 부담하게 되었다. 여기에 7개 질환의 DRG확대가 불거지고 있고 각종 수가인하문제가 아직 소송으로 이어지고 있다.의료계를 더욱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의협회장 간선제를 비롯한 내부의 갈등과 반목이 그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점도 안타깝게 하는 대목이다. 약업환경 역시 작년에 이어 절체절명의 숨막히는 시련과 난관이 폭발직전에 놓여 있다. 소위 ‘반값 약가정책’으로 불리는 일괄 약가인하 방안의 주사위가 던져졌고, 제약이 최대 피해산업으로 꼽히는 한미FTA 비준안이 국회를 통과했다.끊임없이 이어지는 리베이트 적발 뉴스는 피해당사자인 제약업계와 의료계를 움츠리게 함은 물론 국민의 신뢰
2011년 신묘년(辛卯年) 토끼의 해가 밝았다.삼국사기에는 신라 김춘추가 고구려에 붙잡히는 몸이 됐을 때 별주부전에 나오는 토끼의 재치를 떠올려 고구려 옛 땅을 되돌려주겠다는 기지로 무사히 신라로 귀환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토끼는 이처럼 우리에게 지혜롭고 영특함, 풍요로움과 이상향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묘(卯)는 음력으로는 2월이자 시간으로 오전 5시~7시로 농사가 시작되고 일하러 나갈 시간을 의미한다.신묘년을 맞아 의료계와 제약계도 토끼처럼 위기속에서 지혜를 발휘하고, 토끼가 상징하는 번영과 풍요를 누리면서 모두가 진취적 발전을 위한 보람된 일을 본격적으로 전개하는 한 해가 되기를 간곡히 기대한다.올해 의료계를 둘러싼 환경은 결코 우호적이지 못하다.정부는 건강보험 국고지원이 2011년 말로 종료됨에 따라 수입기반 안정과 지출구조 효율화를 도모하느라 한창이다. 진료비 지불제도 개선, 불필요한 의료이용 최소화, 약제비 절감 등에 머리를 짜낼 수 밖에 없을 것이다.동네의원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대안이 ‘선택의원 제도’다. 자율 참여와 선택에 의해 추진하되, 환자와 공급자에 대한 수가와 인센티브 적용 및 서비스 질 평가체계를 구축한다는 것.하지만 의료계는
3년 전인 2004년 12월 1일. 의료산업과 제약산업의 대변지를 자처한 ‘메디포뉴스’의 창간은 나름대로 엄청난 포부와 설계, 그리고 자긍심에 넘쳐 있었다. 보건복지부가 의료산업과 제약산업을 포함한 보건산업을 국가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시키기 위해 보건산업진흥을 위한 50대 추진 과제를 선정 발표할 무렵이었기 때문이다. 21세기 핵심기술인 BT산업 중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보건산업이 미래의 핵심산업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2008년까지 우리나라 의약품산업을 세계 8대 제약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였다. 보건산업의 국제화를 위한 정책과 제도의 개선,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인프라 구축 그리고 성장가능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정보제공 등 할 일이 너무 많았고 의욕도 용솟음 쳤다. 종이신문으로는 다 할 수 없는 인터넷신문의 역할이 그 어느 때 보다 요청됐다. 그 후 3년. 기대됐던 정책방향은 온데 간데 없어지고 초췌해진 의료산업과 제약산업의 ‘생존의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처절함 속에서 뉴스의 현장을 지켜야 하는 오늘의 모습이 너무나 가슴 아프고 안타깝다.무엇이 잘못 되었을까? 문제는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정부 당국자들의 그릇된 정책방향 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