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소 정읍사랑병원장례식장 2호실, *발인 2월 15일
*빈소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 11호실, *발인 2월 14일
*12일, *빈소 광주광역시 국빈장례문화원, *발인 2월14일, *(062)606-4021
학교법인 인제학원은 3월 1일 자로 인제대학교 백병원 보직 인사를 단행했다.백중앙의료원 부의료원장은 지역 특성에 맞는 통합적인 경영계획 수립, 전략적 과제에 대한 역량 집중을 고려해 수도권과 부산지역으로 구분했으며, 수도권지역 부의료원장에는 일산백병원 정형외과 서진수 교수, 부산지역 부의료원장에는 부산백병원 소화기내과 이연재 교수를 각각 임명했다. 부산백병원장에는 안과 양재욱 교수, 상계백병원장에는 외과 배병노 교수, 일산백병원장에는 마취통증의학과 최원주 교수가 새롭게 임명됐으며, 해운대백병원장은 정형외과 김성수 교수가 연임됐다. 수도권·부산지역 부의료원장 및 부속 병원장 임기는 2025년 3월 1일부터 2027년 2월 28일까지 2년이다. 한편, 인제학원은 2월 24일 상계백병원을 시작으로, 25일 일산백병원, 27일에는 부산·해운대백병원의 병원장 이취임식 및 원장단(주요 보직자) 임명장 수여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최보윤 국회의원(국민의힘, 보건복지위원회)은 2024년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보건의료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장애인의 정책과 현안에 대해 날카로운 질의와 대안을 제시해 국정감사 NGO 모니터단으로부터 국정감사 우수의원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국정감사 NGO 모니터단은 1999년 출범 이후 매년 27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평가단을 구성해 직접 모니터를 통해 국정감사 우수의원을 선정해 오고 있다. 최보윤 의원은 2024년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장애영향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추진단 구성 ▲개인예산제 예산 확대 및 서비스통합 제안 ▲UN 장애인권리협약 이행을 위한 중장기적 대책마련 ▲AI 기반 발달장애인 도전 행동분석 시범사업제안 ▲신기술 보조기기 공적제도 도입 ▲경관급식 장애인 지원방안 마련 등의 장애계의 현안에 대한 대책 마련과 정책적 대안을 제안했다. 또한 ▲수도권과 비수도권과의 의료격차해소 ▲의약품 유사포장으로 인한 조제오류 예방 대책 ▲공공의료데이터 개방 및 활용촉진을 위한 정책제언 ▲디지털의료제품법 시행 이전 사전준비 촉구 등을 정부 측에 실효성이 있는 정책적 제언을 했다. 특히, 장애영향평가 등 구체적 제도 추진을 위한 인력배치 촉구해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희준 재난의학센터장(응급의학과 교수)이 최근 미국 응급의학회의 ‘전술 및 법 집행 의학 분과 임원(Section Outreach Coordinator Officer)’으로 위촉되었다고 12일 밝혔다. 미국응급의학회(ACEP,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는 1968년 설립 이래 현재 약 3만 8천 명의 세계 응급의학 전문의들이 소속된 최고 권위의 전문가 단체다. 국제 응급 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 및 배포하고 있으며, 응급의학 전문의 교육 · 연구 지원과 재난 대비 의료체계 구축을 통해 세계 응급 의료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신희준 센터장은 국제재난의학회(FIBODM) 펠로우와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병원 BIDMC(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재난의학 펠로우십,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 펠로우 등 경력을 보유한 국내 대표 재난의학 전문가다. 현재 미국·유럽 재난의학회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대테러의학, 전술의학, 화생방재의학 분야를 중심으로 국제 협업 활성화와 학술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임원 위촉으로 신 센터장은 ‘전술 및 법 집행 의학
*빈소 장흥종합병원장례식장 1층 특실,*발인 2월 13일
*일시 2월 16일 (일) 12시30분, *장소 갤러리아포레 G1층 보테가마지오 로스타뇨홀 (서울 성동구)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 이건국 연구소장이 2025년도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출됐다.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은 국내 최고 수준의 의학 및 관련 분야 석학들이 모인 단체로, 2004년 창립 이후 한국 의학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연구 및 보건의료정책 자문 역할을 수행해왔다. 현재 정회원 452명, 종신정회원 241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회원은 의과대학 및 관련 분야 대학 졸업 후 25년 이상 경과하고 학술 연구 경력 20년 이상인 자로서 학회, 소속 의과대학 및 관련분야 대학(원) 혹은 정회원 3인의 추천을 받아 정회원을 선출한다. 올해는 총 42명의 정회원이 선출됐다. 이건국 연구소장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턴 및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병리과 전문의를 취득했다. 이후 Medical College of Georgia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역임한 뒤,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를 거쳐 2004년부터 국립암센터에서 진료 및 연구를 수행해왔고, 2025년 1월 7일부터 국립암센터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지금까지 SCIE급 국제학술지에 12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SCI 48편, SCI-E 51편을
*10일, *빈소 인천 온누리병원, *발인 2월13일, *(032)566-1919
대한의원협회 선거관리위원회 (정도영 위원장)는 지난 2월 6~7일 양일간 진행된 제7대 대한의원협회 회장선거에서 유인상 후보가 97%의 지지를 받으며 연임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대한의원협회는 지난 2년동안 새로운 변화를 시도한 점들이 회원들의 탄탄한 지지를 이끈 원동력이라고 평가했다. 유인상 회장은 대한의원협회의 발기인으로 시작해 사업이사, 정책이사, 조정부회장 등을 두루 거치면서 실무를 쌓았고, 이 경험을 토대로 제6대 회장으로서 회무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왔다. 유 회장은 이번 선거에 출마하면서, “협회 창립 당시의 초심을 잊지 않고 협회를 계속 발전시키는데 노력하고, 협회를 이끌어 갈 후배 회원들을 적극 발굴하는데 앞장서겠다. 지금 풍전등화 같은 대한민국 의료계에서 흔들림 없이 꿋꿋하게 걸어 나가는 대한의원협회를 만들겠다”며 “대한민국 개원의사들의 권익을 지키는 협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대한의원협회의 제7대 집행부 임기는 3월 10일부터 시작되고 정기총회는 3월15일 개최될 예정이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척추센터 신경외과 조대진·배성수 교수팀이 지난 1월 25일 개최된 제17회 대한척추변형연구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서봉 최우수 학술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서봉 최우수 학술상’은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매년 척추변형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업적을 발표한 연구자에게 수여한다. 조대진·배성수 교수팀은 지난해 세계 최초로 후방 접근을 통한 전방용 케이지 삽입 수술법을 발표했는데, 학계에 그 업적을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했다. 노인성 척추변형 수술에서 척추 유합술 중에서는 전사방 경유 유합술이 교정 효과가 크고 합병증이 발생이 적어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다. 다만, 복부 혈관 이상, 병적 비만, 과거 복부 수술력, 방사선 치료 병력, 복부 염증 질환 병력, 역행성 사정 위험인자를 가진 남성의 경우 등 복부를 통한 수술이 위험한 환자군에서는 후방 접근 수술법이 이용되어 왔다. 조대진·배성수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후방 접근 수술법을 통해 신경 손상 없이 척추체의 전면 부위에 전방용 케이지 삽입에 성공했다. 조대진 교수가 개발한 새로운 후방 유합술은 불안전 유합 및 합병증을 줄이면서, 전방 경유 유합술과 유사한 수
연세의대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신경과 유준상 교수가 지난 7일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2025 국제 뇌졸중 학회(International Stroke Conference 2025)에서 ‘진보와 혁신상(Progress & Innovation Award)’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인 저자로서는 첫 수상이다. ‘진보와 혁신상’은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Stroke’에 지난 1년간 발표된 수백 건의 뇌졸중 연구 가운데 진보와 혁신 측면에서 뛰어난 연구 3건을 선정해 수상하는 상이다. 유준상 교수는 이번 시상에서 선정된 3건의 연구 가운데 2위를 차지해 2,000달러의 상금과 트로피를 받았다. 유준상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허지회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암 환자의 뇌졸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응고인자를 규명한 바 있다. 해당 연구는 암 환자에서 뇌졸중 발생이 증가하는 이유와 그 기전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해 향후 암 환자의 뇌졸중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았다. 유 교수는 “암 환자의 뇌졸중 발생 기전을 밝
*10일, *빈소 서울성모장례식장 21호실, *발인 2월 12일, *02-2258-5973
*승진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심사부장 강주혜 보건연구관 (전 처장실 처장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