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산정특례 재등록 기준, 임상적 판단 중심으로 개선돼야
대한혈액학회는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CML) 등의 혈액암 산정특례 재등록 기준이 현재의 임상 진료 지침과 치료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지적해 왔습니다. 학회는 2018년 등록기준 개정 이후 여러 차례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현행 기준의 비합리성을 설명하고, 개선을 요청해 왔습니다. 2019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1차 의견서를 제출한 이후, 2020년에는 NCCN 및 ELN 등 국제 가이드라인과 관련 논문을 근거로 보완자료를 회신했으며, 이후에도 학회 보험이사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개선 요청이 이어졌으나 제도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채 유지되고 있습니다. 현재 CML의 표준 치료는 미국 NCCN 및 유럽 ELN 진료지침에 명확히 제시된 바와 같이,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복용입니다. Imatinib, nilotinib, dasatinib 등의 약제는 암세포의 분열을 억제하지만, 백혈병 줄기세포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므로 TKI를 평생 복용하는 것이 치료의 원칙입니다. 이는 유전자 검사(BCR-ABL1) 상에서 ‘미검출’로 나타나더라도 실제로는 체내에 백혈병 세포가 잔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