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건 진주세란병원 마취과장 장인상. 7일 부산의료원, 발인 11일9시, 051-607-2654
송민수 경 내과 원장 장인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10시, 02-3010-2237
원두영 국민건강보험공단 차장 부친상. 7일 부산 동아대병원, 발인 10일6시30분, 051-256-7012
일 시 : 2010년 08월 21일~08월 22일장 소 : 외환은행 본점 4층 강당평 점 : 7점
일 시 : 2010년 08월 21일장 소 :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 제 1, 2 임상강의실평 점 : 5점
일 시 : 2010년 08월 21일장 소 : 대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평 점 : 4점
일 시 : 2010년 08월 21일장 소 : 종합관 337호 강의실평 점 : 5점
*내과과장 오원섭 *내과의무장 임규형
김석산 서래의원 원장 모친상. 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9일8시, 02-3410-6920
일 시 : 2010년 08월 15일장 소 :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강당평 점 : 6점
일 시 : 2010년 08월 15일장 소 : 김안과병원 망막병원7층 명곡홀평 점 : 4점
일 시 : 2010년 08월 15일장 소 : 관동대학교 제일병원 대강당평 점 : 5점
국회사무처(이사관 전보)*보건복지위원회 전문위원 김대현
송재원 송재원소아청소년과 원장-재철 한양대의대 교수 부친상. 5일 한양대병원, 발인 7일 8시, 02-2290-9457
안 화 영 서울의대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CASE STUDY Q. 31세 여자환자로 3달 전부터 시작된 심계 항진 및 7kg의 체중감소, 손떨림, 발한 증가 소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갑상선은 60g 정도로 전반적으로 커져 있었고, 심박수는 120회 정도였으며 안구돌출은 관찰되지 않았다. 검사 결과 freeT4 2.32(0.78-1.94)ng/dL, T3 212(60-195)ng/dL로 상승되어 있었고 TSH는 0.12(0.4-4.0)uIU/ml로 억제되어 있었으며 anti-TSH receptor Ab는 2.33(0.3-1.22)IU/L로 증가되어 있었다. A. 그레이브스병 진단 하에 methimazole 100mg bid, propranolol 10mg q8hr로 투여 시작하였고 6주 후 시행한 추적 검사에서 freeT4 1.41ng/dL, T3 146ng/dL로 정상화 소견을 보이고 TSH는 0.17uIU/ml, anti-TSH receptor Ab 1.71IU/L로 호전되었으며 환자가 이전에 호소하던 증상들도 호전된 소견을 보였다. 이에 methimazole을 10mg qd로 감량하고 propranolol은 중단하고 6주 후에 추적 관찰하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