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황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 4명 중 3명이 중장년층인 30~50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5년간 공황장애로 인한 진료비가 112억원에서 169억원으로 1.5배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 따르면 공황장애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6년 3만 5천명에서 2011년 5만 9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5년간 연평균 10.7% 증가했으며,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도 2006년 74명에서 2011년 119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30~50대 진료환자는 4만 2565명으로 전체 환자 5만 8551명의 3/4정도를 점유했다.
적용인구 10만명당 환자는 남성은 118명, 여성은 120명으로 남여간 차이는 적었지만 30~40대에서는 남성이 많은 반면 50대~70대는 여성이 더 많았다.
공황장애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6년 112억원에서 2011년 169억원으로 1.5배 증가했고, 공단부담 급여비는 2006년 74억원에서 2011년 122억원으로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공황장애 치료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현재까지 공황장애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인지행동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약물치료는 항우울제와 항불안제가 주로 쓰인다고 설명한 이선구 교수는 "항우울제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차단제(SNRI), 삼환계 항우울제 등이 있다"며 "항불안제는 자낙스(alprazolam), 리보트릴(clonazepam) 등의 벤조디아제핀이 있다"고 말했다.
또, 인지행동치료는 사소한 신체감각을 지나치게 과대평가, 확대해석해 파국적 사고로 발전시키는 공황장애의 인지왜곡을 교정하는 치료이며, 이외에도 호흡 재훈련법과 근육이완 훈련, 노출요법(상상노출, 가상현실을 통한 노출, 실제 노출 방법)등이 있다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이선구 교수는 공황장애의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공황장애에서 경험하는 신체증상들이 교감신경이 과활성 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정상적인 반응"이라며 "이런 증상들로 미치거나 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공황발작 동안의 괴로움을 줄여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어, "술, 담배 그리고 카페인은 공황장애에 취약한 사람에게는 공황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며 "중추신경흥분제를 포함한 다이어트 필 등의 약물도 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과호흡은 가슴 답답함이나 두통과 같은 증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며 "공황증상이 있을 때 깊게 숨을 쉬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평상시에 호흡을 조절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그리고, "요가나, 명상, 점진적 근육이완과 같은 활동들을 꾸준하게 연습하면 몸의 이완 반응을 강화할 수 있다"며 "공황증상이 올 때의 신체반응과 반대의 반응으로 공황 발작이 있을 때에 호흡을 깊게 하고 신체를 이완시키면, 공황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