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2011년 제3차 의학교육 정책포럼 개최

'의과대학에서 바람직한 의료윤리 교육과정과 평가시스템' 주제로 진행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장협회(이사장 임정기, 서울의대 학장)는 '의과대학에서 바람직한 의료윤리 교육과정과 평가시스템'이란 주제로 21일 오후 4시, 함춘회관 가천홀에서 2011년 제3차 의학교육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각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장, 의료윤리 교육 관련 보직자, 윤리교육에 관심 있는 교수들 뿐만 아니라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김건상 원장 및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정책포럼에서 의화의전원 권복규 교수는 '의료윤리 교육과정의 목표'란 주제로 발표했다.
권 교수는 대학에서 의료윤리를 가르치는 목적은 의사의 전문직업성에 입각해 임상에서 흔한 윤리적 갈등 사례를 감지하고 해결하는 실제적인 기본 능력을 배양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의 의료현실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다루어야 하며, 의료윤리 능력(Medical Ethics Competence)은 전반적인 임상수행능력의 일부로 함께 가르치고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톨릭의대 박성환 교수는 '국내 의료윤리 교육 실태'에 대해서 최근에 조사한 결과(31개 대학)를 발표했다

박 교수는 "의료윤리의 교육시기는 의예과부터 의학과 4학년까지 다양하다"며 "81%의 대학에서 독립학점을 가지는 정규 교과목 형태로 가르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주요 내용은 의료윤리, 생명윤리, 의사의 직업윤리 등이었다"며 "교육방법으로는 강의와 토의가 대부분을 이루었고, 영화나 역할극, 병원 또는 기관 실습이 일부 있었다"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평가는 필기시험, 참여도평가나 보고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며 "의료윤리 교육 전담인력이 있는 대학이 51.7%로 절반 정도에 그쳤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의료윤리 교육 참여교수는 상당수가 임상의학 전공 교수였고 생명윤리학자나 의료인문학자, 의료법학자가 일부를 차지했다"며 "의사국가고시에 의료윤리 과목을 포함시키는 데는 51.6%가 찬성하였고, 29.0%가 반대했으며,19.4%는 중립적 입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또, "의사국가고시에 도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며 "인증평가 필수기준화, 실기시험 도입, 포트폴리오 등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서울의대 김옥주 교수는 서울의대의 사례를 발표했다.

김옥주 교수는 "서울의대의 의료윤리 교육은 1, 3, 4학년에서 각각 10 여시간씩 의료윤리 교육을 하고 있다"며 "이 과정은 의학과 프로페셔널리즘 교육과정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으며 인턴 생명윤리교육과 연계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또, "온라인 토론을 활용하고 있으며, 키패드를 활용하여 학생들 모두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도록 하고 있다"며 "의료윤리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데, 영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수업에 활용하며, 교육자와 학생 모두에게 DVD를 언제든지 대여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보고서, 출석, 발표 및 토론 내용을 기반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임상 현장에서 윤리문제를 겪는 교수들과 팀 티칭으로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가톨릭의대 이강숙 교수는 '바람직한 평가방법'에 대해서 발표했다.

이 교수의 발표에 따르면 의료윤리교육의 성과를 평가하려는 시도로 윤리적 감수성 또는 도덕 판단력 검사가 우리나라 연구에서 주로 쓰여 왔다.
하지만 그 실효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이는 윤리학적 지식이 도덕적 행동행위를 항상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것만 가지고 윤리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거나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의료윤리적인 딜레마 상황을 연출하는 실제 임상 사례를 이용한 의료윤리 문제해결 능력 평가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논술, 임상실습에서의 튜터 사정, 발표, 동료평가, 자기평가, 역할극평가 등 다양한 평가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단국의대 정유성 교수는 '외국의 의료윤리 교육 현황 및 평가'란 주제로 주로 북미에서의 의료윤리교육 현황 및 평가방법에 대하여 발표했다.

임상의사가 갖추어야 하는 온전한 윤리적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와 창의적인 방법의 질적 연구들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의료윤리 교육 평가에 있어서 표준화도 필요하며, 평가의 표준화를 위해서 의과대학들마다 공통적인 핵심 교과과정을 공유해야 하며, 의료윤리교육의 구체적 목표들을 보다 분명하게 규정하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인제의대 노혜린 교수(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장협회 전문위원)는 인지적 능력의 향상 뿐이 아니라 실제적인 행동과 역량이 윤리적으로 바뀌는 교육과 그에 대한 실제적인 평가가 필요하고, 환자안전과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거시적인 시각에서 교육과정이 개편되어야 한다고 이번 정책포럼 주제에 관한 의견을 내고 있다.

학생이 의과대학을 졸업한 시점에서 부딪히게 되는 현실적인 윤리적 상황은 안락사나 DNR, 연구윤리, 낙태, 기업과의 관계, 장기이식, 생식술 등이 아니다.

오히려 여자환자 성추행하지 않기, 의무기록 기밀유지하며 다루기, 엘리베이터나 술집에서 환자의 이름이나 상태 말하지 않기, 환자의 질병명을 환자에게 제일 먼저 알리기, 치료계획을 환자와 상의하여 결정하기, 환자 보고할 때 거짓말하지 않기, 의학적 지식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환자와 대화하기 등 실제적인 윤리 실무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리적 행동이 몸에 배기 위해서는 역량이 체득되도록 하는 교수학습방법이 필요한데, 강의나 토의, 영화나 역할극 등으로는 부족하므로 수행 실습이 필요하고, 평가 또한 수행평가가 필요한데, 수행평가의 방법으로는 임상수행평가나 포트폴리오 등을 추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