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노인 의료보건, “활기찬 고령화 전략 중요”

보사원 선우덕위원, 20일 노인의료 학술심포지엄서 발표

최근 고령화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중년이상의 고령환자가 병의원의 외래와 입원을 차지하는 가운데 의료기관의 진료환경이나 보건의료제도의 체계 역시 친고령화 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우덕 연구위원은 “대부분의 노인계층은 이미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지니고 있어 만성질환은 기본적으로 완치(cure)가 불가능한 질환이기 때문에 노인 의료·보건체계의 목표가 질병관리 및 신체적 기능장애의 예방 및 지연에 두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에서 선우덕 연구위원은 노인의료 보건체계 구축의 기본방향에 대해 “그 기본이념은 ‘활기찬 고령화’ 또는 ‘건강한 노화’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며 “이에 대해 WHO는 ‘노년기의 건강수명, 생산성 및 삶의 질을 연장하기 위해 생의 전반에 걸쳐서 육체적, 사회적 및 정신적 복리를 위한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으로 해석한다”고 밝히고 “이는 건강한 노화보다 더 폭넓은 의미로 90년대후반부터 WHO, OECD, ILO, EU 등에서 이미 통용화 되고있다”고 설명했다.
 
선우덕 위원은 “노인계층에게 필요한 의료‧보건체계의 기본방향은 자립성 유지”라며 이는 개개인 뿐만 아니라 정책결정자가 요구하는 기본적인 목적이므로 여기서 자립성을 가능하게 하는 건강이 ‘활기찬 고령화’를 촉진시키는 중요요소”라고 강조했다.
 
선우덕 위원은 “의료·보건정책을 포함한 각종 경제사회정책이 ‘활기찬 고령화’를 지원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생의 왕성한 생산활동시기에 성인이 조기에 사망하는 것이 줄어들 것”이라며 “노인이 자립성을 유지하면서 긍정적인 삶의 질을 누리며 생산적인 경제활동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가의 치료와 케어서비스를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선우덕 위원은 활기찬 고령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의료정책에 있어 *빈곤 및 저소득계층을 포함하는 지나친 장애부담을 줄이고, *생의 전반에 걸쳐서 건강과 복리를 보호하는 요소를 증가 및 주요 질환의 발생원인과 관련된 위험요소를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또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및 비용의 효율화로 공평하며 질적인 장기요양보장 대책을 강조하는 일차보건의료체계 등을 개발해야 한다”며 “교육과 더불어 주거 및 고용 등 사회정책에 있어 연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같은 내용은 20일 오후2시 분당서울대병원은 대강당에서  ‘고령화 사회 노인의료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주제로 열리는 ‘노인의료학술 심포지엄’을 통해 발표한다.
 
박지은 기자 (medifojieun@paran.com)
200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