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년 중 여름기간인 5~8월 사이에 성폭행 피해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산부인과 김태희 교수는 2001년 4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성폭행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42명의 의무기록 자료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김태희 교수에 따르면 월별 성폭력 피해환자는 5~6월에 31%(13명), 7~8월에 26.2%(11명)가 발생하여, 여름철에 성폭력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1~2월과 9~10월에 각각 16.7%(7명), 3~4월에 7.1%(3명), 11~12월에 2. 4%(1명)의 성폭력 피해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로는 자정~새벽3시까지가 33.3%로 가장 높았으며 새벽3시~6시가 14.9%, 21시~24시가 11.9%로 순으로 나타났으며 낮시간인 15시~18시 사이에도 9.5%가 발생했다.
성폭행 피해자 연령은 20대가 40.5%로 가장 높았으며, 13세까지가 31.0%, 14세~19세까지가 21.4%, 50대 이상인 경우에서도 2.4%로 나타났다.
한편 성폭행범은 안면이 없는 경우가 54.8%, 아는 친구나 동료 혹은 친인척 등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가 38%로 나타났으며, 채팅을 통해 알게 된 사람의 경우도 7.2%로 집계됐다.
김태희 교수는 “가정, 학교, 의료기관, 매스컴 등을 통해 성폭행에 노출되기 쉬운 상황과 피할 수 있는 방법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해야 한다며 “특히 성폭행 피해를 입은 후에 신체적·정신적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적 측면의 접근법도 중요하겠지만 임상적 차원의 교육을 통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요청”된다고 말했다.
조현미 기자(hyeonmi.cho@medifonews.com)
200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