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흡입이 국소 비만뿐 만 아니라 전신 비만에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돼 눈길을 끌고 있다.
서울의대 이윤호 교수(성형외과학교실)는 최근 개최된 대한성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비만의 성형외과적 수술 접근법’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지방흡입이 국소 비만뿐 만 아니라 전신 비만에도 효과가 있는 데는 ‘spontaneous dieting effect’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지방흡입 후 나타나는 fat layer honeycomb-like tunnel이 star like contracture를 일으켜 fibrous tissue nets를 형성하고, 이는 internal corset 역할을 한다.
또한 지방층의 감소로 rectus abdominis muscle이 activation된다.
이러한 두 가지 현상으로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해 환자는 포식 시에 거북함을 느끼며, oral intake volume을 줄이게 돼, 이는 전신 비만에 대한 효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이 교수는 말했다.
<표1> spontaneous dieting effect
1. The thickness of abd. fat layer ↓
2. The activity of retus abd. muscle ↑
3.Restriction effect of the Interspersed fibrous tissue.
(functions as like internal corset)
⇒
Decrease of total oral intake(spontaneous dieting effect)
⇒
Improvement of General Obesity
한편 그는 지방흡입 시 ‘double-plane suction lipoplasty’ 즉, subcuntaneous superficial fascia(Scarpa’s fascia) 사이로 superficial layer는 UAL(Ultrasound-assisted lipoplasty)로, deep layer는 SAL(Suction-assisted lipoplasty)을 시행해 UAL을 통한 피부의 burning effect로 skin tightening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deep layer에서는 SAL을 사용함으로써 UAL의 시행 시 수술 후 녹아 나오는 지방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depresstion을 예방하며 보다 정교한 contouring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지현 기자(jhchoi@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