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최신연구진전

간암세포의 아미노산 공급 차단 통한 약제 내성 극복 방안 제시

경북대병원 내분비대사연구팀, 종양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에 게재



경북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박근규, 최연경 교수 연구팀(공동 1저자 변준규 연구교수, 이승형 박사과정)은 소라페닙(다중표적 키나아제 억제제 / 항암제)에 노출된 간암 세포들이 ‘거대음세포작용’을 통해 아미노산(시스테인 : 아미노산의 일종)을 공급함으로써 항암제 내성을 유도하는 것을 규명함에 따라 간암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최근 간암치료제에 대한 면역기반 치료요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소라페닙은 가장 효과적인 단일 약물요법이지만, 높은 재발률과 내성으로 한계가 있어 약물 반응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 전력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경북대병원 내분비대사연구팀은 간암세포에서 거대음세포작용이 유도되면 소라페닙의 항암효과가 상쇄된다는 점을 착안해 거대음세포작용이 소라페닙의 내성 유발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 항암제(소라페닙)에 의해 간암세포의 사멸(페롭토시스, ferroptosis)이 유도되지만, 거대음세포작용으로 공급된 아미노산 때문에 세포사멸이 억제되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유발됨을 밝혔으며, 고혈압 치료약인 아밀로라이드(Amiloride)를 병용하여 거대음세포작용을 억제하면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박근규 교수는 “암세포에서 거대음세포작용은 종양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유발된다고 알려졌지만, 본 연구는 종양유전자 변이가 아닌 간암세포에서 항암제에 의해 거대음세포작용이 유도되어 약제 내성을 유발함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소라페닙과 거대음세포작용 억제제의 병용치료요법이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에서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과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종양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 (IF: 11.161)’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