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득이 적은 만성질환 노인층에서 욕창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성형외과 박지웅 교수 · 공공의학과 이진용 교수팀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전 인구 대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 표본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확인했다고 26일 전했다.
욕창은 한 자세로 계속 앉거나 누워 있을 때 지속적인 압력이 발생해 해당 부위의 물집 · 피부가 벗겨지고 심하게는 근육 · 인대 · 뼈 조직괴사가 발생하는 것으로, 의식이 없거나 뇌 · 척수신경손상 환자, 노인 등 침대에 오래 누워 있는 환자에게 잘 생긴다. 욕창은 골수염 · 패혈증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심평원이 보유한 매년 입원환자표본 자료(NIS)를 기반으로 국내 욕창 유병률의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입원과 나이, 건강보험타입, 의료기관 지역 · 규모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욕창 환자는 2009년 0.74%에서 2015년 0.86%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90% 이상이 65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대부분 발생했다. 발생 비율(odds ratio)은 건강보험 가입자 대비 의료급여 수급자가 1.46배 높았고, 동반질환지수(CCI)가 3 이상인 경우 1.9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령, 저소득층, 만성질환자에서 욕창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5년 기준 건강보험 유형 · 지역에 따른 욕창 환자 수를 보면, 건강보험 가입자의 46.9%가 광역시 지역의 의료기관에 입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4.4%의 의료급여 수급자보다 높은 수치다.
의료기관 기능 · 규모에 따라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급으로 분류했을 때 의료급여 수급자는 12%만이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반면, 건강보험 가입자는 21.3%로 높게 나타났다.
종합병원 · 병원의 경우 건강보험 가입자는 각각 30.9%와 41.8%로, 의료급여 수급자의 32.1% · 50%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고령의 저소득층 환자가 욕창 유병률이 높으면서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안 좋고 기능 · 규모가 낮은 의료기관에 많이 입원한 것으로 분석된다. 즉, 욕창은 의료취약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건강 불평등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형외과 박지웅 교수는 "이 연구는 최초로 국내 인구의 욕창 유병률의 패턴을 밝혀낸 것에 의미가 있다."며,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노령화 속도와 노인 빈곤율이 1위인 만큼, 꾸준히 증가하는 욕창환자가 심각한 의료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욕창에 대한 병원 내 체계적인 관리, 치료 프로토콜 정립을 위한 욕창전문센터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사회 관심 및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Prevalence of Pressure Injuries Nationwide from 2009 to 2015: Results from the National Inpatient Sample Database in Korea'라는 제목으로 국제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에 2019년 2월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