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 환자의 보호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국내 최초로 입증됐다.
이대목동병원 신경과 정지향 교수팀이 전문 병원용 치매 환자 보호자(이하 치매 보호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그 효과성을 입증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고 25일 전했다.
이번 연구 논문은 대한신경과학회 대표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JCN) 2019년 15호에 게재됐다.
인지 · 기능 면에서 심각한 퇴화를 보이는 치매는 완치할 치료법이 없는 진행성 뇌질환이다. 이 때문에 치매 환자는 모든 일상에서 보호자 도움 · 보호가 필요하며, 보호자는 심각한 부양 부담에 따른 신체적 ·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연구팀은 치매 유병률이 가장 높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보호자 대상으로 교육 및 심리적 치료 개입 프로그램인 'I-CARE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치매 보호자 부담 경감 및 우울증 감소에 대한 유효성 조사를 위한 다기관 무작위 배정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를 진행했다.
I-CARE 프로그램은 치매 전문 병원에서 시행 가능한 최소의 개입 횟수 및 개입 시간을 적용하면서 치매 보호자의 현실 문제를 고려하는 단기 개입 프로그램(총 4회)으로 구성됐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환자 · 보호자에 대해 잘 아는 치매 전문의는 환자의 치매 증상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보호자의 치매 이해를 높이고, 임상심리사는 심리 치료 기법을 이용한 보호자 개별 면담을 통해 이상 행동에 대한 현실적인 대처 방법과 스트레스 대처 및 치매 환자의 잔존 능력 유지를 위한 활동을 함께 논의한다.
이번 연구에는 이대목동병원, 인하대병원, 서울아산병원, 평촌한림병원, 춘천성심병원, 동탄성심병원, 보바스기념병원 등 총 7개의 병원과 38명의 치매 보호자가 참여했다.
연구팀이 치료군 19명과 대조군 19명을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I-CARE 프로그램이 보호자의 치매 관련 부양 부담(Zaret Burden Score)과 우울감(Depression)을 감소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지향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궁극적으로는 병원 내의치매 환자와 보호자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급여화를 통해 간병 부담을 경감하고, 환자 · 보호자의 긍정적인 사고 방식을 갖도록 유도해 가정에서 장기적인 간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