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건강/웰빙

텃밭 가꾸기 열풍…근육통 풍년 부른다

초보 농사꾼 잡는 근육통, 농사 시작 전후 스트레칭 해야

봄기운이 완연한 요즘, 텃밭 가꾸기를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최근 각 지자체별로 운영하는 도시 텃밭도 증가하는 추세며, 텃밭 분양을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률을 뚫어야 할 정도로 텃밭 가꾸기 열풍이 불고 있다. 여기에 도심 근교의 주말농장을 이용해 텃밭 가꾸기를 하는 가족도 많은데, 안심 먹을거리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가족간의 친밀도를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텃발 가꾸기에 익숙치 않은 직장인이 무리하게 농사 일에 도전하다가 근육통이 생기기 일수다.

직장인 정씨(38세,남)는 “도시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의 교육차원에서라도 텃밭 가꾸기는 충분한 현장교육장이 된다”면서“매년 텃밭 분양을 받아 고구마, 감자, 고추 등 여러 가지 작물을 키운다. 하지만 농사일을 해본 적이 없어 텃밭 일을 하는 것이 녹녹치 않은 것이 사실이며, 한번 갔다 오면 온몸이 쑤실 정도로 근육통에 시달린다.”고 말했다.

정씨처럼 농사일을 취미생활로 시작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작은 면적의 텃밭 가꾸기라도 평소에 쓰지 않던 근육을 써야하기 때문에 자칫 근육통 등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먼저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텃밭 가꾸기에 나섰다면 처음부터 무리하지 말고 3시간 이내로 천천히 일하는 것이 몸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실제로 농사일은 골프나 등산보다도 1.5배 이상 높은 칼로리가 소모될 정도로 힘든 작업인데, 무리하게 오랜 시간 작업을 하면 근육통과 요통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텃밭을 가꾸다 보면 목표치만큼을 끝내고 쉬어야지 하는 생각에 무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래 일한 후 오래 쉬는 것보다 피로감이 올 때 짧게라도 자주 쉬는 게 효과적이다.

가톨릭중앙의료원 운영 국립교통재활병원 재활의학과 김태우 교수는 "초보 농사꾼들이 농사를 지을 때는 "적어도 한 시간마다 10분 이상씩 휴식을 취해야 하는데 어린이나 노인들과 함께 하는 경우라면 더욱 자주 쉬어줘야 한다“며 ”피로를 예방하려면 농사일 중간 중간에 물을 마셔 충분한 수분섭취를 해주고, 주변사람들과 이야기하면서 템포를 맞추면서 즐겁게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농사도 운동, 반드시 준비운동으로 근육 풀어줘야
주말농장을 이용해 농사를 짓는 사람들 중에 준비운동을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드믄 편이지만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줘야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다.

운전을 해서 주말농장에 도착했다가 곧바로 일을 시작하는 경우 근육의 긴장도가 높아 근육통이나 요통 등을 유발하기 쉽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삽질과 호미질, 땅을 고르고 잡초를 뽑다 보면 허리와 목이 뻐근하고 관절이 시큰거려 더는 쪼그리고 앉아 일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며 "익숙하지 않은 육체노동을 갑자기 하다 보면 몸에 무리가 가게 마련인 만큼 손목과 발목, 허리와 목 등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풀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무조건 힘으로 삽질을 하고 곡괭이질을 하다보면 신체 특정 부위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는데 농기구를 잡는 요령부터 힘을 주는 방식까지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쪼그리고 손과 어깨를 반복적으로 움직여 일하면 허리, 다리, 어깨에 통증이 오기 때문에 일하는 중간 중간 쉴 때는 무리가 따르는 근육을 스트레칭 해줘야 한다.

특히 잡초를 뽑거나 파종을 할 때처럼 쪼그리고 앉는 일이 많을 때는 작은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것이 무릎과 발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며, 서서 일할 때는 두 다리를 꼿꼿이 세우기보다는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고 약간 구부려 달리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다.

농사일을 끝마쳤다면, 일반적인 운동 후에 하는 것처럼 10~20분 정도 마무리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목부터 풀어주기 시작해 어깨와 무릎, 팔목, 발목 등 전체적으로 가볍게 이완 운동을 반복해주면 근육통 예방에 도움이 된다.

무리한 농사일로 허리나 어깨 등의 관절이 뻐근하거나 통증이 있을 경우에는 초기에 냉찜질을 통해 염증부위를 가라앉히고, 3일 째부터는 온찜질로 뭉친 근육을 풀어주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일주일이 지난 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재활치료와 함께 진통 소염제를 처방받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