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2005-08-26 04:00:00

관리자

직무 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자 : 강동묵 외

 

출판사 : 고려의학

 

  가 : 22,000원

 

발행일 : 2005년 04월 05일

 

  형 : 4X6배판

 

페이지 : 316면

 

직무스트레스는 오늘날 선진국에서 요통 등의 근골격계 질환 다음으로 가장 흔한 작업관련 건강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지난 2000년 싱가폴에서 열린 국제산업보건학술대회(ICOH)의 스트레스관련 쎄션장은 매 쎄션 마다 발 디딜 틈조차 없을 정도로 청중들이 몰려 스트레스분야에 대한 전 세계적인 학문적 관심과 열기가 뜨거웠다.

이렇듯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는 이미 범세계적으로 직장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작업관련 유해인자의 하나로 인정하는 추세이며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 정부에서는 어떻게 하면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할 수 있을까를 고심하고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 근로자에 대한 전국 규모의 직무스트레스 실태를 조사해 본 바는 없지만 아마 우리나라도 산업 구조나 형태 및 국가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선진국 못지않은 정도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문제가 존재할 것이라 짐작된다.

 

이 개설서의 집필자는 모두 구 직무스트레스연구회 회원이다.

직무스트레스연구회는 1999년 8월 처음 발족되어 2000년 9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만 3년간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중점과제연구회지원대상으로 지원을 받아 왔으며, 처음 30 여명의 회원으로 시작한 연구회는 만 4년이 지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여 전국에서 모이는 회원수가 약 50여명에 이르게 되었을 뿐 아니라 매년 꾸준히 공동연구업적을 내놓았다.

그러다가 좀더 활발한 활동을 위한 더 많은 참여자와 그에 걸 맞는 큰 무대가 필요하여 2004년 4월 9일자로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로 발족한 바 있다.

 

이 개설서는 연구회 시절 소속 회원들이 연구회 활동을 하면서 각자 공부하여 정기 세미나를 통해 발표해 온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직무스트레스분야에 관심이 있는 더 많은 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어 책으로 엮어본 것이다.

'스트레스 및 그로 인한 건강장해'에 대해 제대로 알고 연구해 보고 싶다는 공통 관심 하나로 뭉친 연구회 회원들이 처음 가장 아쉬워했던 것이 바로 이런 비슷한 형태의 한글판 직무스트레스 개설서가 없다는 점이었으며, 그래서 아직은 부족한 점이 많아 더 많이 공부해야겠지만 조금 뒤늦게 직무스트레스 공부를 시작하려는 분들을 위해 일단 개설서 한 권 만들어 보자는 데 의기투합하였다.

미진한 부분은 더 공부해 가면서 판을 바꿔 채워 나갈 것임을 독자들께 약속드리고자 한다.




메디포뉴스 help@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