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박현진 교수 연구팀(분당서울대병원 박상민 교수, 중앙대병원 송광섭 교수,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유기한 교수)이 요추 추간판 탈출증 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해 대한정형외과학회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은 요추 부위 추간판이 파열되면서 누출된 내부 수핵이 신경을 압박해 허리통증, 좌골신경통, 다리 저림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주로 시행되는 수술법은 요추 부위 근육을 약 30~40mm 절개하고 수술용 현미경으로 확인하면서 누출된 수핵을 제거하는 방식인 ‘현미경 디스크 절제술(Microscopic Lumbar Discectomy, MD)’이다. 이는 과거 개방수술법보다 회복이 빠르고 통증도 적지만 근육을 벌리는 과정에서 손상과 흉터, 그리고 통증이 불가피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박현진 교수팀은 2021년 7월부터 2022년 9월까지 국내 6개 병원에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수술을 받은 100명을 모집해 ‘양방향 내시경 디스크 절제술(Biportal Endoscopic Discectomy, BED)’과 ‘현미경 디스크 절제술’을 비교하는 다기관 전향적 무작위 대조시험을 수행했다.
최소침습 ‘양방향 내시경 디스크 절제술(Biportal Endoscopic Discectomy, BED)’ 요추 두 곳에 약 7mm~10mm정도만 절개하고 내시경 카메라로 환부를 확인하면서 수핵을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대상 환자들은 12개월간 추적 관찰되었으며 ▲기능 회복 점수 ▲통증·근육 손상·흉터 등 조기 회복 지표 ▲합병증 발생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수술 후 12개월 시점의 평균 기능 회복 점수는 BED군 10.92점, MD군 10.3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사했으며, BED군은 통증 및 근육 손상, 절개 길이 등 조기 회복 지표에서 유의하게 우수했다. 특히 절개 길이는 BED군이 15.8mm로, MD군(33.1mm)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고, BED군의 상처 벌어짐 발생율은 0건으로 안정성이 확인됐다.
박현진 교수는 “양방향 내시경 디스크 절제술은 기존 현미경 수술과 동일한 기능 회복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통증, 흉터, 근육 손상 등 조기 회복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더 우수하다는 점을 최초 다기관 무작위 대조연구를 통해 입증했다”며 “회복 속도나 미용적 결과에 민감한 젊은 여성이나 직장인 환자에게 적합한 새로운 초기 치료 선택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