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는 3일 케렌디아(성분명 피네레논)의 국내 만성 심부전 환자(LVEF ≥40%) 대상 적응증 승인을 기념해 ‘좌심실 박출률 (LVEF) 40% 이상의 만성 심부전 환자 치료의 새로운 기둥(A New Core Pillar in Heart Failure with LVEF ≥40%’이라는 주제로 케렌디아 만성 심부전 적응증 런칭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약 400여 명의 심장내과 의료진이 참석해 새로운 만성 심부전 치료 옵션인 케렌디아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대한심부전학회 이사장 유병수 교수(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심장내과)가 좌장을 맡았으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박진주 교수가 ‘CKM(Cardiovascular-Kidney-Metabolic) 증후군의 근본적 치료 옵션으로서 케렌디아의 가능성’을,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김다래 교수가 ‘주요 연구결과를 통해서 본 심부전 환자에서의 케렌디아 우선 적용 대상군’을 주제로 발표했다.
박진주 교수는 만성 심부전에 영향을 미치는 케렌디아의 기전에 대해 설명하며, FINEARTS-HF연구의 주요 결과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박 교수는 “케렌디아는 비스테로이드성 선택적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 이하 MRA)로, MR의 과활성화는 체내 항상성 조절 장애, 염증, 섬유화를 통해 신장과 심혈관에 손상을 야기한다”며, “케렌디아는 기존의 스테로이드성 MRA와는 다르게 MR에 선택적이고 안정적으로 결합하며, 스테로이드성MRA와 비교해 신장과 심장에 동등하게 분배 및 작용하며 더 짧은 반감기와 높은 MR 선택성을 보이는 새로운 기전의 만성 심부전 치료 옵션”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박 교수는 “FINEARTS-HF연구 결과에 따르면, 케렌디아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과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및 심부전 관련 긴급 병원 방문을 포함한 전체 심부전 사건을 16%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28일부터 나타난 효과가 연구가 진행되는 3년 동안 지속됐다. 나이, 체질량지수(BMI), 당뇨병, 추정사구체여과율(eGFR) 등 17개의 하위그룹 분석에서 일관된 혜택을 보여 다양한 환자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두번째 발표를 진행한 김다래 교수는 케렌디아의 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환자 대상 임상연구에서 확인된 심혈관 혜택을 되짚으며, 만성 심부전 임상 현장에서의 케렌디아 적용에 대해 논의했다.
김 교수는 “케렌디아는 최근 국제심혈관연맹(iCARDIO Alliance) 가이드라인 2025와 일본심부전학회 가이드라인 2025에서 각각 R(Recommend), IIa 등급으로 권고됐다”고 전하며, “심장은 신장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장기이고, 유사한 치료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2형 당뇨병 동반 만성 신장병 연구의 환자 특성과 심혈관 혜택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케렌디아는 최대 내약 용량의 ACE 억제제와 ARB를 사용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신장병 환자에서 심혈관계 원인으로 인한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비치명적 뇌졸중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 감소 등의 심혈관 혜택을 확인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2형 당뇨병 동반 만성 신장병과 만성 심부전을 함께 가지고 있는 가상의 환자 사례를 바탕으로 케렌디아를 조기에 시작해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치료 전략을 강조하며, 임상 현장에서 케렌디아 적용 가능성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이날 행사는 “케렌디아가 명확한 에비던스를 바탕으로 치료옵션이 적은 국내 만성 심부전 환자(LVEF ≥40%) 치료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한다“는 대한심부전학회 이사장 유병수 교수의 폐회사로 마무리됐다.
바이엘 코리아 정현정 심혈관 및 신장 질환 치료제 포트폴리오 리드는 “케렌디아는 차별화된 기전을 바탕으로 만성 심부전 치료에 기존과 다른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해 그동안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심장-신장 통합 관리를 위한 치료 옵션으로서 임상적 가치가 더욱 견고해진만큼 새로운 치료 옵션이 필요했던 의료진과 환자에게 케렌디아를 통해 추가적인 심혈관 혜택을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