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는 지난 10월 23일 오후 2시 30분, 혜강관 209호에서 ‘콰트로 정밀의약 연구원(Quattro Precision Therapeutics Institute, 이하 QPT)’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개소식은 AI(인공지능)와 데이터 기반 정밀의학 및 첨단 융복합기술을 선도할 대학 부설 연구 거점의 출범을 알리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김선용 학교법인 대우학원 이사장, 임재현 상임이사, 최기주 총장, 한상욱 의료원장, 김철호 콰트로 정밀의약연구원 초대원장을 비롯해 교내외 주요 인사와 연구진이 참석했다. 1부에서는 축사와 연구원 비전 선포식이 진행됐으며, 2부 심포지엄에서는 ▲연세대 홍종필 연구처장의 ‘연세대 융합연구 추진 전략’ ▲아주대 의과대학 우현구 교수의 ‘차세대 초개인화 정밀의약 전략’ ▲첨단바이오융합대학 김용성 교수의 ‘항체치료제 기술이전 및 산학협력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QPT는 의학·약학·공학·데이터과학·AI가 융합된 다학제 연구를 기반으로 산·학·연·병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초연구부터 임상·사업화·인허가에 이르는 전주기 기술사업화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특히 의과대학, 약학대학, 공과대학, 첨단바이오융합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자연과학대학 등 6개 단과대학의 역량을 결집해 연구 성과의 산업화를 촉진한다.
또한 QPT는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한 연구 시너지 창출, 산업계·학계·병원 간 실질적 협력, 개방형 오픈이노베이션 기반의 연구개발, 국제 네트워크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동시에 추진한다. 이러한 체계를 통해 기초·중개연구에서 임상 개발과 기술사업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스밸리(Death Valley)’, 즉 연구성과가 실제 산업화로 이어지지 못하는 단절 구간을 극복하고, 환자 중심의 실질적 치료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아주대학교는 기초과학과 임상의학, 산업기술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정밀의학 허브로 성장해, 향후 50년을 선도할 국내 바이오헬스 혁신의 핵심 엔진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