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민진홍, 전소영 교수 연구팀이 심정지 후 발생하는 저산소허혈성 뇌손상(Hypoxic-Ischemic Brain Injury, HIBI)의 시간에 따른 진행 양상을 연속 MRI 기반 ADC 정량화 분석을 통해 추적해 ‘심정지 후 72~96시간 시점’의 영상이 예후 예측에 가장 유리하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22명의 심정지 생존자를 대상으로 심정지 후 6시간 이내(초초기)와 72~96시간(3~4일, 아급성기) 두 시점에서 각각 뇌 MRI를 시행하고, 뇌 속 물 분자의 움직임(확산 정도)을 수치화한 확산 계수(ADC)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아급성기 MRI에서 예후군(좋은 예후 vs 나쁜 예후)간의 분리도가 가장 뚜렷했으며 이 시점에서 환자가 회복형(안정형)인지 손상이 진행 중인지를 구분할 수 있었으며, 그 예측 정확도(AUC)는 0.91로 매우 높았다.
또한 초기 MRI 확산강조영상(DWI)에서 고신호(HSI)가 관찰된 38명 전원이 나쁜 예후를 보였고, 초기에는 고신호가 없었다가 추적 MRI에서 새롭게 고신호가 나타난 20명도 모두 나쁜 예후로 확인됐다. 이는 초기 영상이 정상처럼 보여도 이후 악화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입증한 결과로, 조기 예후 단정의 위험성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심정지 생존자의 예후를 평가할 때, 6시간 이내의 초기 MRI만으로 불가역 손상을 단정하고 치료 결정을 서두르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면서 “국제 가이드라인이 권고하는 심정지 회복 후 72시간 이후 신경학적 평가의 필요성을 정량적 영상 데이터로 입증했다”라고 설명하고 “이번 결과는 다른 예후 예측 도구의 최적 측정 시점을 정립하고, 다중모달 예후 평가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정지 후 환자의 시간에 따른 뇌 MRI 겉보기 확산 계수(ADC) 변화 분석을 통한 안정형과 진행성 뇌손상 구별(Time-resolved ADC analysis differentiates stable vs. progressive brain injury in post–cardiac arrest patients)』제목으로 응급의학 분야 상위 10% 국제학술지 『Resuscitation』 2025년 10월 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