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영유아 '우유' 아나필락시스, 예측 쉽지 않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전유훈 교수 공동연구팀 분석

우유에 의한 아나필락시스는 기존 알레르기 항체검사를 통한 예측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전유훈 교수와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식품알레르기 아토피피부염 연구팀이 '한국의 영유아 아나필락시스 현황 다기관 후향적 사례 연구(Infantile Anaphylaxis in Korea: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ase Study)'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9일 전했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23개 병원에서 아나필락시스로 치료받은 0~2세 영유아 363명을 분석했다. 이 기간 0~2세 아나필락시스 발생 환아는 2009년 32명에서 2013년 132명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환아 중 절반 이상이 원인 물질에 노출된 후 30분 이내 빠르게 증상이 나타났으며, 대부분은 두드러기 등 피부 발진과 함께 호흡장애 증상을 보였다.

아나필락시스 원인은 △음식이 93%(338명)로 가장 많았고 △약물 3%(11명) △음식물 섭취 후 운동을 했을 때 나타나는 '음식물 의존성 운동 유발성 아나필락시스' 1%(3명) 순으로 나타났다. 원인 음식은 △우유와 유제품이 44%(148명)로 가장 많았고 △달걀이 22%(74명) △호두 8.3%(28명) △밀 7.7%(26명) △땅콩 4.7%(16명)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우유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의 경우 특이항체검사로 예측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 아나필락시스가 나타난 0~2세 119명 중 절반 이상인 64명(53.8%)은 경구식품유발검사를 제외한 알레르기 검사에서 낮은 면역글로블린 수치를 보였다. 즉, 우유의 경우 면역글로블린 수치와 알레르기 중증도의 연관성이 떨어져 아나필락시스 예측이 쉽지 않은 것이다. 

반면, 우유 다음으로 아나필락시스가 많이 나타난 달걀의 경우 92~100%의 환자가 높은 면역글로블린 수치를 갖고 있어 검사결과와 알레르기 증상의 중증도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전유훈 교수는 "식품알레르기를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경구유발검사로, 의심되는 음식을 병원에서 직접 먹여보고 증상을 관찰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렵고 위험한 경우도 있어서 혈액검사를 통한 알레르기 검사를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우유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환자 중 알레르기 검사 수치가 낮은 경우가 많이 관찰돼 우유 알레르기가 의심된다면 알레르기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며, "우유는 아이의 성장 · 발달에 중요한 식품이다. 우유 알레르기가 진단돼 우유 섭취를 제한하면 비타민 D 결핍이 우려되기 때문에 보충영양제를 처방받고 우유 알레르기가 소실되는지 정기적인 검진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나필락시스는 급성으로 위험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초기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아나필락시스로 치료 받은 환자 중 가장 중요한 치료인 에피네프린 주사는 절반이 안 되는 46.8%만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교수는 "2세 이하 어린이는 가려운 증상이나 숨쉬기 힘든 증상을 잘 표현하지 못한다. 부모도 증상을 겪어보지 않는 이상 아나필락시스를 인지하기 어려워 진단 ·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며, "특히 아나필락시스는 급성으로 나타나며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만큼 아나필락시스 경험이 있는 경우 비상시를 대비해 에피네프린 자가 주사기를 처방받아 휴대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SCI급 국제학술지 대한의과학저널(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4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