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블록체인, 의료계에 어디까지 적용가능하나?

선행돼야 할 것은 '데이터 통합'

메디포뉴스는 8일 ‘블록체인이 만드는 의료정보 생태계는?’이라는 기사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의료정보 플랫폼 ‘메디블록’을 소개했다. 10일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정책간담회 ‘의료분야에서의 블록체인 활용방안’에서 발제자와 토론자는 어떻게 블록체인 기술을 의료계에 적용하고, 이와 관련된 규제내용과 현재 기술적 한계를 토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김주한 서울의대 정보의학 교수와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이은솔 메디블록 대표, 홍승필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보안공학과 교수, 주용완 인터넷진흥원 인터넷기반 본부장, 오상윤 보건복지부 의료정보정책과장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메디포뉴스는 이날 토론 내용을 토대로 블록체인 기술로 만들 수 있는 미래 모습과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점을 소개한다.[편집자주]

◆현시점에서 가장 현실적인 블록체인 기술 적용분야 – 사전의료의향서, 예방접종기록, 응급정보

김주한 서울의대 정보의학 교수는 “현시점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잘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사전의료의향서 ▲예방접종기록 ▲응급정보시스템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김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을 모든 의료 분야에 적용하는 것에는 현재로선 한계가 있다. 하지만 개인의 병력이나 알르레기, 혈액형과 같은 정보를 응급상황에서 손쉽게 볼 수 있는 정도는 개인정보 침해 문제 측면에서도 비교적 자유롭다”고 말했다. 
 
또한, 김 교수는 현재 복지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전의료의향서 기구가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못 하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사전의료의향서는 변조 위험을 방지해야 함과 동시에, 개인의 연명치료 여부에 대한 의사 변화도 반영해야 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사전의료의향서의 위∙변조 방지를 막을 수 있고 현재의 공증기구를 블록체인 기술로 대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김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활용 가능한 분야로 ▲마약류 관리체계 ▲향정신성 약물 처리 강화를 제시했다. 김 교수는 “이 분야의 경우 이해 당사자 간의 의견 조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기술을 의료계에 적용하기 선행돼야 할 것 – 데이터 통합 

김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풀어야 할 것은 ‘데이터 통합’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일단 의료 데이터에 대한 통합 작용이 이뤄져야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명자 한국과총 회장 역시 이 같은 의견에 동의하며 “U헬스케어 사업에서도 흩어져 있는 의료 정보를 통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교수는 의료 데이터 축적의 방식으로 블록체인 내의 ‘인센티브 시스템’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코인을 발행해 정보를 제공한 사람에게 일종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이 경우 정보 제공이 개인에게 사적 이익 추구가 될 수도 있고, 공공적인 측면에서는 의료정보 축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교수는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문제는 결국 인프라다. 인터넷이 풀지 못 했던 ‘신뢰’의 문제를 블록체인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블록체인은 인터넷을 대체하는 기술이 아니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해 다른 층위로 올라서는 것이다. 즉, 인터넷이라는 물리적 하부 구조가 있고, 블록체인의 이 하부구조를 바탕으로 또 다른 층위를 만드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각 블록 별로 많은 연결이 있다. 이를 인프라로 생각하면 된다. ”고 설명했다. 

덧붙여 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의 발전양상과 블록체인의 발전 양상은 다르게 전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인터넷은 하드웨어 적인 측면이 강했다. 즉, 정보통신부가 인터넷 망이라는 하드웨어를 통해 성공적으로 인터넷을 보급할 수 있었다”며 “그러나 블록체인은 이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다. 블록체인은 소프트웨어 적인 측면이 강한데, 한국은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약하다. 소프트웨어 인력 풀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시재활프로젝트로 의료계 블록체인 기술 펼칠 수 있을까?

주 본부장은 “결국 블록체인 기술 역시 플랫폼과 국가 간의 싸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이에 대한 장기적인 전략과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교수는 건강을 테마로 한 ‘힐링도시’라는 다소 급진적인 제안을 내 놓았다. 김 교수는 “강릉을 일종의 건강을 테마로 한 힐링도시로 지정한다. 이 도시는 블록체인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된 환경이고, 의료인구와 노인, 젊은 세대가 어울려 살 수 있는 약 120만 명 규모의 도시로 만드는 것이다. 일종의 블록체인거버넌스를 구성하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이에 홍 교수는 “현재 선진국이나 중국을 중심으로 스마트 도시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만큼 현실성이 없는 주장만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김 교수는 “스마트도시는 효율지향적이라면 내가 주장하는 힐링도시는 기술의 정합성이 강조된 개념이다. 스마트 도시의 경우 첨단기술이 측면이 강조됐다. 힐링도시는 의료 공공성, 노인 문제 해결에 더 최적화된 개념이다”며 스마트도시와의 차이를 설명했다. 

홍 교수는 “작년 이 시기에 블록체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고, 현재는 블록체인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며 블록체인 시장의 트렌드를 단편적으로 말했다.

홍 교수는 “정부 당국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고, 이에 대한 사례를 요구한다. 하지만 사례를 요구하는 순간 우리나라는 세계 블록체인 기술 경쟁에서 뒤지는 것이다. 보건복지 분야에서도 우리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선례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