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건강/웰빙

중년 女 '갱년기증후군', 어떻게 치료할까?

호르몬치료,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적극적인 치료로 폐경으로 인한 질환 예방해야

갱년기증후군이란 폐경 전후로 생기는 여러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폐경기증후군', '폐경증후군'으로도 불린다. 평균 49~51세 전후로 폐경이 되는데, 겉으로는 단지 생리가 멎는 것이지만 몸 속에서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 여성건강에 있어 큰 전환점을 맞게 된다. 

난소는 제 기능을 잃고 조그맣게 쪼그라들고 난소에서 만들어내던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estrogen)의 분비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생리적, 정신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며, 심장질환, 골다공증, 치매, 요실금 등 각종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지고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진다. 중년여성이라면 꼭 알아야 할 갱년기증후군에 대해 가톨릭대학교 산부인과 김민정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 갱년기증후군 증상

초기에는 병명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증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여러 증상의 집합체가 나타난다. 신체적 자각 증세로 ▲'월경이 불규칙해진다' ▲'얼굴과 가슴 부위가 화끈거리는 열성홍조(번열)와 함께 식은땀이 나며 심장이 두근거리고 불안, 초조감을 느낀다' ▲'소변을 자주 보게 되고 밤에도 여러 번 화장실을 찾는 등 방광염, 요도염의 증세가 나타난다' ▲'성관계 시 불쾌감이나 통증을 느끼고 외음부의 가려움증이 있다' ▲'손 · 발가락, 팔목, 무릎, 발목 관절통과 관절경직 등 원인 모를 전신 통증을 느낀다' ▲'원인 모르는 두통, 어지러움 등의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이 나타난다' ▲'상복부의 팽만감 및 체중증가 동반' 등이며 이외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정신적 변화로는 ▲'괜히 불안을 느끼며 신경이 예민해진다' ▲'우울감이나 고독감을 느끼며 만사가 귀찮아지고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 ▲'수면 장애가 동반되며 생활력 감소가 올 수 있다' 등이 있다.

후기에는 지속적인 여성호르몬의 결핍으로 건강과 생명에 심각한 위험을 줄 수 있는 질환들이 발생할 수 있다. 지질대사에 관여해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되는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감소함으로써 폐경 10년 후 심근 허혈증과 동맥경화증 등 심혈관질환이나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여성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골다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골다공증이란 뼈의 구성성분이 점차 소실되면서 뼛속에 많은 구멍이 생겨 조그만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되는 질환으로, 폐경이 되면 급격한 골밀도의 감소가 일어나 같은 연령의 남자보다 10배 정도의 골밀도 소실을 보이게 된다. 폐경 후 여성에서 대부분 다양한 정도의 골다공증을 보이는데 심한 경우 여러 부위의 골절을 유발, 이에 따른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대퇴경부 골절인 경우는 합병증으로 인하여 1년 내의 사망률이 20%에 달하며, 대부분 정상적인 생활로 회복할 수 없다. 

◆ 갱년기증후군 진단 · 검사 방법

폐경기는 월경주기의 변화와 특징적인 안면홍조 등의 증상으로 쉽게 진단할 수 있지만, 여성호르몬 감소로 생길 수 있는 골다공증이나 심혈관 질환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 갱년기증후군 치료법

갱년기증후군 치료는 크게 호르몬 치료와 식사 요법, 운동 요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인 몸 상태를 정확히 확인한 후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 

호르몬 대체 치료를 하면 안면 홍조나 생식기계 위축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심혈관계 질환이나 골다공증 예방에도 도움이 되며, 우울증 같은 정신심리 증상도 완화할 수 있다. 갱년기증후군으로 진단, 치료를 시작한 후라면 1년마다 치료 전 받았던 기본적인 검사를 반복 시행하고, 증상에 따라 치료 지속 여부를 결정해야 하므로 무엇보다 전문의와의 상담이 우선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