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호야렌즈가 삼성서울병원과 협력해 아동 근시 억제를 목표로 국내 첫 마이오스마트 임상시험을 착수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마이오스마트 렌즈의 효과와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국내 근시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기획됐다. 최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을 획득하며 본격적인 연구 단계에 돌입했다. 마이오스마트 렌즈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근시 진행 억제 전용 안경렌즈로, 기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와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자랑한다. 마이오스마트 렌즈는 D.I.M.S.테크놀로지가 적용돼 근시 진행을 억제하며, 그 효과는 최근 8년 장기 임상 시험 결과에서도 입증됐다. 이번 임상시험은 삼성서울병원 안과 박경아 교수의 주도로 진행되며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근시 억제렌즈 연구라는 점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 박 교수는 “근시는 어린이들의 시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굴절 이상으로, 치료가 늦어지면 진행을 막기 어려울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근시 억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어린이들의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근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한국호야렌즈(대표 정병헌)는 프리미엄 누진렌즈 제품군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스타일링∙메이크업∙프로필 촬영을 지원하는 ‘EYES STAY YOUNG’ 캠페인을 성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내가 보던 시야 그대로’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더 많은 노안 소비자들이 누진렌즈 제품군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자 기획됐다. 이벤트 모집 기간은 2024년 6월 1일부터 7월 20일 간 약 두 달간 진행됐으며, 당첨자는 호야 누진렌즈 구매자 중 영수증과 보증카드 사진을 제출 완료한 응모자 중에서 추첨을 통해 선정됐다. 이번 이벤트는 약 1,300명의 응모자 수를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으며 최종 선정된 4인의 당첨자들에게는 헤어∙스타일링∙메이크업을 받고 프로필을 촬영하는 특별한 기회가 주어졌다. 당첨자들은 아이(EYE) 메이크오버를 통해 예전처럼 활기찬 라이프스타일과 함께 더욱 선명한 시야를 되찾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노안은 보통 40대 초반부터 근거리 시력 저하로 시작되어 60대까지 진행되며, 증상이 심해질수록 25~40cm 정도 근거리에 있는 사물에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워진다. 노안은 책과 스마트폰 등 근거리 시야를 많이 사용하는 현대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김영민)는 회원사 한국호야렌즈(대표 정병헌)와 함께 지난 22일 서울 광진구청을 방문해 지역 내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시력 지원 협약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가정위탁 아동과 한부모 가정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시력 검안를 실시하고 어린이 근시 억제에 효과적인 마이오스마트 렌즈와 안경테를 기부하는 내용으로 이뤄졌다. 한국호야렌즈가 기부한 마이오스마트 렌즈는 지난 8월 협회 제10회 자선골프대회를 통해 후원된 제품으로, 수백 개의 작은 근시성 흐림을 사용하는 DIMS(Defocus Incorporated Multiple Segments) 특허 기술을 적용해 어린이의 근시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영민 협회장, 한국호야렌즈 정병헌 대표, 김경호 광진구청장, 한국적십자광진후원회 관계자가 참석해 취약계층 아동들의 시력 관리와 건강한 성장을 위한 지원에 뜻을 모았다. 협약에 따라 취약계층 아동들은 광진구 내 마이오스마트 렌즈 특약 안경원을 방문해 전문적인 시력 검안과 피팅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마이오스마트 근시 억제 프로그램으로 시력 관리 혜택을 누리게 된다. 김경호 광진구청장은 “지역 내 취약계층 어린이
한국호야렌즈(대표 정병헌)는 ‘세계 시력의 날(World Sight Day)’을 맞아 지난 6일 한국실명예방재단과 함께 취약 계층 아동들의 눈 건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무료 시력검진과 강의 등 사회공헌활동(CSR)을 진행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한 눈으로 건강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그리고 눈 건강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10월 둘째 주 목요일을 ‘세계 시력의 날(World Sight Day)’로 제정해 기념하고 있다. 2024년 세계 시력의 날 캠페인 주제는 ‘Children, Love Your Eyes’로 아동과 청소년의 눈 건강을 보호하고 올바른 안경 착용 및 교정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한국호야렌즈는 ‘시력관리 격차 해소(Bridging the vision care gap)’라는 CSR 미션의 일환으로 지난 6일 한국실명예방재단과 ‘아동 및 청소년 안과수술비 및 안경비 지원’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하고 후원 협약식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서 호야렌즈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국 실명예방재단과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이어가기로 했으며, 취약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눈
한국호야렌즈(대표 정병헌)는 최신 기술로 탄생한 차세대 변색렌즈 센서티(Sensity)의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옥외광고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한국호야렌즈는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 지역의 주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그린 스마트존(Green Smart Zone) 및 전국 버스 정류장에 브랜드 영상 송출을 통해 젊은 세대의 눈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전달한다. 이번 캠페인은 특히 상대적으로 야외 활동이 많거나, 디지털 기기 사용이 많아 자외선 및 전자파 노출이 큰 3040 세대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자외선은 눈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 꼽힌다.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강한 빛인 자외선(UV) 중 UV-C는 대기권에서 대부분 반사되지만, UV-A와 B는 지상으로 내려와 다양한 인체 기관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히 겉으로 노출되는 피부와 눈은 자외선에 취약한 신체기관이다. 망막은 피부와 마찬가지로 자외선에 오래 노출되면 손상이 생기고 심하면 시신경까지 영향을 미쳐, 결막염, 백내장, 황반변성 등의 안질환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강한 자외선 환경에 노출된 인간의 눈이 각종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하
한국호야렌즈(대표 정병헌)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안경업계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한국호야렌즈는 1월 9일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비전의 미래로 여행: 호야와 함께 렌즈의 미래를 구체화하다(VISIONARY ODYSSEY: SHAPING THE FUTURE OF LENS WITH HOYA)’라는 주제로 신년회를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앞으로 3년간 한국호야렌즈가 추구할 사업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안경업계와 더불어 끊임없이 변혁할 것이라는 원대한 포부가 설명됐다. 또 최근 출시된 신제품을 포함해 한국호야렌즈만의 독창적 기술력으로 제작된 누진렌즈, 근시억제렌즈인 마이오스마트 및 다양한 기능성렌즈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소개함으로써 기업의 지속 발전 가능성을 강조했다. 먼저 오전 세션에는 진 써지(Zins Serge) 호야 비전케어 아시아 태평양 총괄 CEO, 정병헌 한국호야렌즈 대표, 김성원 마케팅 디렉터가 한국호야렌즈의 명확한 사업 목표 및 혁신을 통한 신제품 개발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코즈 카즈마(Kozu Kazuma) R&D 매니저가 호야렌즈의 기술 연구 및 개발
한국호야렌즈(대표 정병헌)는 지난 15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2022 유럽 검안 및 광학 아카데미(European Academy of Optometry and Optics, EAOO) 컨퍼런스에서 DIMS 기술로 수상을 한 마이오스마트(MiYOSMART) 안경 렌즈에 대한 6년간의 추적 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근시진행억제 안경 렌즈에 대한 연구 중 가장 장기간 진행된 연구로, 이를 수행한 홍콩 폴리텍대학 근시 연구소의 칼리 람(Dr. Carly Lam) 교수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독일의 국제혁신안과수술연구센터(Internationale Innovative Ophthalmochirurgie, I.I.O) 비르테 그라프(Birte Graff) 연구원이 ‘어린이 근시의 진단과 치료’ 세션 토론에 참여했다. 6년간 진행된 임상 연구는 마이오스마트 안경 렌즈를 착용한 90명의 아시아 지역 어린이를 대상으로 근시 진행 정도를 조사했다. 이는 이전 3년간의 추적 연구에서 이어져왔으며, 8-13세 어린이의 근시 진행 억제 효과를 입증하며 영국안과학회지(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에 발표된 2년간의 무작위 대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