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신부전(콩팥병) 환자가 혈액투석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의 유용성이 입증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신장내과 정병하(공동교신저자)·이한비(제1저자), 여의도성모병원 신장내과 고은실(공동교신저자) 교수팀이 투석 중 저혈압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 (CMC-IDH-X-Artificial Intelligenence system)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의료분야 임상데이터 정보관리시스템인 CMCnU CDW (Clinical Data Warehouse) 플랫폼을 활용해 의료원 산하 7개 병원 혈액투석 환자 2007명과 94만3 220건의 투석과 연관된 임상 자료를 분석하고 데이터 세트를 구축했다. 이후 개발한 저혈압 예측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해 투석 시작 전 혈압과 한외여과율, 이전 투석 중 저혈압 기왕력 등과 같은 임상 자료를 기반으로 위험도를 계산했다. 그 결과, 실제 저혈압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음성 예측도가 0.97로, 투석 시작 전 투석 중 저혈압 발생 위험을 거의 정확하게 선별해 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예측능력은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우수하다. 정병하 교수는 “인공
대한신장학회(이사장 양철우)는 일반인들에게 콩팥병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 유튜브 채널 ‘내 신장이 콩팥콩팥’을 개설했다. 신장학회는 세계 콩팥의 날에 맞춰 오픈한 이번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일반인과 콩팥병을 앓고 있는 환우들에게 콩팥병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튜브 방송의 특징은 토크 형식으로 환자가 평소 궁금했던 내용들을 질문하면 신장내과 전문의가 대답하는 Q&A 방식이다. 또한, 방송 내용을 엄선해 환우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주제로 정했으며, 방송시간도 10분 이내로 구성해 지루하지 않고 편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현재 유튜브 채널에는 네 가지 주제(▲콩팥 관련 건강검진 결과 해석 ▲당뇨, 고혈압 치료 중 콩팥병이 발생했다면? ▲나에게 맞는 투석 방법은? ▲콩팥병, 뭘 어떻게 먹을까?)가 업로드 돼있다. 방송 진행자로 황원민 교수(건양대병원)와 이미경 교수(일산차병원)가 참여해 쉽고 편한 진행으로 시청자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았다. 대한신장학회 배은희 홍보이사는 “코로나로 인해 신장질환 환자분들을 위한 대면 교육이 부족한 상황에서 유튜브를 통한 건강토크를 계획하게 됐으며, 향후 다양한 주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