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 떡’ 연속혈당측정기, “환자들이 쓸 수 있으려면요”
의사도, 간호사도, 환우도 모두 하나가 돼 환자들이 편하게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달라고 외쳤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주최하고 대한당뇨병학회가 주관하는 ‘인슐린이 필요한 중증 당뇨병 관리체계의 선진화 방안’ 토론회가 11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개최됐다. 발제를 맡은 대한당뇨병학회 김재현 췌도부전당뇨병TFT팀장에 따르면 췌도부전당뇨병은 몸에서 인슐린이 나오지 않는 당뇨병으로, 생존을 위해 인슐린 주사가 필요하지만 적절한 인슐린 양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합병증이 발생하기 쉬운 중증질환이다. 때문에 췌도부전당뇨병에서 연속혈당측정기와 이와 연동된 인슐린 주입기의 사용은 필수적임에도, 처방율은 극히 낮은 편에 속한다. 특히 연속혈당측정기와 연동이 되는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는 인구는 1형당뇨병 인구의 0.2%(241명)에 불과하다. 김 팀장은 이에 대한 원인으로 △치료/관리 수가의 부재 △요양비 제도 △높은 가격 및 렌탈 제도의 부재를 꼽았다. 김 팀장은 먼저 “의료진의 전문적인 관리, 교육이 필요하지만 이와 관련된 수가가 전혀 없다. 의료진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이러한 기기를 처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제한된다”며 “의료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