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음압병상’이 수도권에 병상이 집중되어 있어 지방의료 인프라의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감염병관리기관 음압병상 현황’에 따르면, 전국에 총 1052개의 음압병상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음압병상 현황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기가 139개(13.2%)로 가장 많은 병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 127개(12.1%) ▲인천이 123개(11.7%)로 수도권에만 약 37%가 집중되어 있다. 반면, 충북(29개), 울산(26개), 세종(7개) 등 일부 지방은 병상 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해, 가장 많은 병상을 보유한 경기와 비교해 약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병상 종류별로 현황을 보면, 중환자 격리 병상은 총 346개 중 성인 병상이 318개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신생아 병상은 22개에 불과하며, 특히 소아 병상은 전국에서 광주·전북·강원에 각각 2개씩만 설치돼 있어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아 중환자 격리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 환자 격리 병상은 총 706개로 1인 병상 421개, 다인 병상 285개로 운영되고 있었다. 최보윤 의원은 ”감염병 대응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가 센터 내 음압병상 2개를 추가로 확충, 이로써 음압병상은 1개에서 3개로 증가했다. 서울대어린이병원은 6일 이 같이 밝혔다. 응급실 방문 환자는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문제는 환자가 기침·발열 등 호흡기증상을 보일 때다. 응급 치료가 필요하지만 만약 해당 환자가 확진자인 경우 의료진은 물론, 일반 환자와 보호자로 이어지는 대규모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응급실 내 음압병상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번 서울대병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의 음압병상 확충 배경도 현재의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음압병상 유무는 매우 중요하지만, 그 숫자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잇따른 데서 왔다. 이번 서울대병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의 음압병상 확충으로 응급실 내 대규모 감염 위험을 미리 예방하고, 더 많은 어린이 환자에게 적시에 응급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발열이 있는 소아 응급환자가 음압병상 부족으로 이송 받지 못해 여러 응급실을 떠도는 사례가 발생한 바 있는데, 음압병상 증설과 효율적 운영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김한석 서울대어린이병원장은 “소아전문응급
세종충남대학교병원이 코로나19 본격 대응에 돌입했다. 세종충남대병원은 21일 새벽 세종 56번 확진자를 음압 병동에 안전하게 입원 조치했다고 밝혔다. 7월 16일 개원한 세종충남대병원은 감염내과 병동을 비롯해 모두 18개의 음압격리실을 갖추고 있으며 음압 적용이 가능한 24개의 중환자 격리실까지 포함하면 최대 42개의 음압 병상을 가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세종충남대병원은 코로나19 재확산 상황이 심각해짐에 따라 지난 18일부터 태스크포스팀을 가동해 코로나19 확진자 대응을 준비했다. 인력과 장비, 시설, 물품 등은 물론 의료진의 안전 확보와 완벽한 대응 능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재환 진료처장은 “감염병 전담 의료진의 경우 전문교육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10월 정도를 예측하고 코로나19 확진자 대응 계획을 수립했었다”며 “하지만 상황이 긴박함에 따라 확진자 치료 병실을 즉시 가동시켰고 우선 1단계 4병상, 2단계 7병상 등 11개의 음압 병상을 가동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충남대병원의 음압 병상 가동에 따라 세종을 비롯한 대전, 충청지역 코로나19 확진자들은 상태에 따라 입원, 치료를 받게 된다. 코로나19의 확산 저지를
창원경상대학교병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코로나19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환자 치료역량을 갖추고 있으나 감염병 환자를 수용할 음압병상이 부족한 병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2차 유행에 대비하고, 위기 시에 다수의 음압병상을 신속히 확보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하기 위해 도입됐다. 창원경상대학교병원은 121병동 내 5실 13병상을 긴급치료병상으로 지정받았으며, ECMO 장비 외 20종의 장비를 도입할 예정이다. 긴급치료병상은 평상시 일반환자 진료시설로 운영 가능하며, 감염병 위기 등 유사시 음압격리 병상으로 전환해 감염병 환자 진료를 위해 사용한다. 병동 전체를 음압화해 다수의 병상을 음압병상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업선정에 따라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긴급음압격리병상) 등 설치에 필요한 시설비 및 의료장비비를 지원받는다. 지원 금액은 병상 당 2억 5000만원으로 총 32억 5000만원을 지원받는다. 5000만원 이상 고가의 의료장비는 선정된 병원이 일부 부담한다. 본 사업비로 확충한 긴급치료병동은 국가공중보건 위기 경보가 ‘경계’ 이상 발령되고 보건복지부장관 요청이 있는 경우와 국가 공중보건
대전 다단계 판매업소와 교회 등을 중심으로 시작된 대전시 코로나19 집단감염 여파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으로 지정된 충남대병원의 음압병상이 포화상태에 다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5일 이후 21일까지 대전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36명.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발생현황 발표에 따르면 대전에 추가적인 코로나19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아직 방심은 이른 상황이다. 대전발 코로나19 감염이 세종·충남지역까지 퍼져 관련 확진자가 늘고 있기 때문. 충남에 22일 0시 기준 2명의 확진자가 추가됐다. 현재 대전시에는 충남대병원, 대전보훈병원, 대전시립 제2노인요양병원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돼 코로나19 환자를 돌보고 있다. 주로 중증환자 치료는 충남대병원이, 경증환자는 나머지 두 병원이 도맡아 하고 있다. 이 중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으로 지정된 충남대병원의 음압병상이 코로나19 환자들로 거의 찬 것으로 확인됐다. 충남대병원 음압병상은 모두 36개로 이중 34명의 코로나19 환자가 입원해 있다. 2인실의 이동형 음압병실 2개가 추가로 설치됐지만, 음압장비 때문에 사실상 한 명이 정원인 셈이다. 6인실도 5개가 있지만 같은
질병관리본부는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음압병실 확충사업 공모에 참여한 30개 의료기관을 평가한 결과, 17개 의료기관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공모에서는 전국 모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지난달 14일에서 5월 8일까지 관할 시·도를 통해 사업 참여 희망기관을 신청 받았으며, 질병관리본부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에서 각 의료기관의 사업신청서를 토대로 평가해 지원 대상 의료기관을 최종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코로나19 발생 시 중증환자 치료 등 음압병실 필요성이 크게 부각됨에 따라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을 확충하기 위해 추진됐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은 평시 및 국가 공중보건 위기 시 신종 감염병환자 등에 대한 격리 입원치료를 위해 질병관리본부가 지정 운영하는 감염병 관리시설을 말한다. 2006년부터 지금까지 총 29개소 161병실(198병상)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신규 10개 기관을 포함한 17개 의료기관에 83개 음압병실이 확충됨에 따라 총 39개소 244병실(281병상)이 설치·운영될 예정이다. 선정된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질병관리본부 설계심의위원회 기술지원 등을 통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확충사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