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44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가 공공보건정책관을 공개모집한다고 29일 밝혔다.. 응모방법은 응시원서, 이력서 및 직무수행계획서 등 관련서류를 10월 20일까지 인사혁신처 나라일터(www.gojobs.go.kr)를 통해 온라인 접수하거나, 온라인 접수가 곤란한 경우에는 인사혁신처 개방교류과(☎044-201-8359, 8360, e-mail : mpmocs@korea.kr)로 방문 또는 등기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응시와 관련한 세부사항은 나라일터 및 인사혁신처 홈페이지(www.mpm.go.kr,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공보건정책관은 공공 보건의료정책의 수립·조정, 감염질환 정책에 관한 종합계획의 수립‧조정, 응급 의료정책의 수립 등을 수행하는 직위로, 최종 선발된 자는 임기제 고위공무원으로 임용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은 전국 7개 병원을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기관으로 선정하여 오는 10월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시범사업 기관은 자원 소모량 산출과 재활수가 및 서비스 모델 개발이라는 사업 취지를 고려하여, 신청기관 30개소 중에서 필수 지정기준(진료과목, 시설, 인력, 장비 등)과 환자구성비율(30%이상), 지역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구분 기 관 명 지 역 요양기호 지정 (7) 국립재활원 서울 11202483 린병원 경기 31209874 휴앤유병원 경기 31204341 파크사이드재활의학병원 부산 21202150 호남권역재활병원 광주 36203718 강원도재활병원 강원 32200641 제주권역재활병원 제주 39200337 조건부 지정 (12) 의료법인춘혜의료재단 명지춘혜병원 서울 11205628 청담병원 서울 11206772 분당러스크재활전문병원 경기 31206221 로체스터병원 경기 31207863 브래덤병원 인천 31206247 (재)한․호기독교선교회 맥켄지화명일신기독병원 부산 21203725 워크재활의학과병원 부산 21203971 해운대나눔과행복병원 부산 21203202 의료법인영재의료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과 서구청이 함께하는 '건강나눔 노래자랑'이 10월 21일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썬큰광장에서 펼쳐진다. 예선은 14일 오전 9시부터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3층 마리아홀에서 진행되며, 21일 열리는 본선 대회에서는 대상(1명) 250만 원, 금상(1명) 150만 원, 은상(1명) 50만 원, 동상(1명) 30만 원 상당의 경품이 주어진다. 예선 참가 신청은 11일까지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홈페이지(www.ish.or.kr)를 통해 온라인접수로 가능하며, 인천 서구 관내 거주자 또는 직장인, 팀 단위 등 참가를 원하는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김영인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장은 “수면센터 개소, 맞춤형암치유병원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 등 서구 주민의 관심과 사랑으로 성장해온 국제성모병원이 지역 주민의 성원에 보답하고자 노래자랑을 개최하게 됐다.”며, “이번 노래자랑이 서구 주민의 화합과 축제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은 건강나눔 노래자랑과 함께 20~21일 양일간 제1회 건강나눔 문화주간을 개최한다. 건강나눔 문화주간에서는 동물원 콘서트, 퍼니밴드 등 공연과 함
난임 시술 건강보험 적용 정책이 발표됐지만 저소득층 위주로 진행돼 온 기존 지원사업과의 횟수 연계로 인해, 건보 혜택을 못 받는 난임환자가 총 1만 5,000명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29일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서울 성북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난임 건보 적용시 횟수 제한 대상자 구분 자료'에 따르면, 2015~2017년 9월 기존 정부 난임 지원사업 대상자 중 건보 적용 시 지원횟수(신선배아 4회, 동결배아 3회, 인공수정 3회)를 모두 채워 건보 혜택 대상에서 제외된 난임환자는 인공수정 기준 1만 4,981명으로 전망됐다. 신선배아, 동결배아 횟수 소진자는 각각 7,939명, 3,476명이었다. 복지부는 "각 부문별 중복 문제 등이 있지만, 인공수정 기준으로 대상자 총 인원을 따지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원횟수가 한 번 밖에 안 남은 인원의 경우, 인공수정은 1만 9,582명, 신선배아와 동결배아는 각각 9,926명, 6,487명이었다. 이들의 경우 시술을 한 번씩만 더 받으면 난임시술 비용부담이 4배 이상 커지는 셈이다. 정부는 ‘난임환자 20만명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내달 1일부터 난임시술의 건강보
경희의료원이 29일, 정보행정동 제1세미나실에서 개원 46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에는 조인원 경희대학교 총장, 임영진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건식 의대병원장, 황의환 치과병원장, 김성수 한방병원장 등 교직원 200여 명이 참석했다. 개원 기념식은 ▲2017년 경희의료원 주요 추진 사업 소개 ▲기념사 ▲축사 ▲경희의학상, 우수교직원상 등의 시상식 순으로 진행됐다. 임영진 의료원장은 기념사에서 "화합과 협력을 몸소 실천하는 전 교직원이 있었기에 경희의료원이 46번째 생일을 맞이할 수 있었다."며, "우리는 함께 의지하며 정상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반자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빠르게 변화하고 능동적으로 성장해나가는 의료원의 밝은 미래를 기대해본다."라고 말했다. 조인원 경희대학교 총장은 "지난 46년의 세월동안 수많은 성과를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전 교직원이 맡은 바 책무를 다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오늘을 기점으로 더욱 더 큰 미래를 개척해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축사를 전했다. 연구논문분야의 경희의학상은 이비인후과 여승근, 내분비대사센터 황유철, 구강악안면외과 권용대, 사상체질과 이준희, 방사선종양학과 공문규, 한방암센터 윤성우 교수가 수상했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서울 도봉갑·더불어민주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9월) 수액세트 이물신고는 총 68건이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29일 밝혔다. 인재근 의원이 공개한 ‘최근 3년간 수액세트 이물신고 현황’ 자료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지난 2015년 이물신고 건수는 27건이었으며, ‘파편’이 7건, ‘기타 이물질’이 20건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016년에는 총 27건의 이물신고가 접수되었으며 ‘머리카락’이 3건, ‘파편’ 6건, ‘기타 이물질’ 18건이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접수된 이물신고는 총 14건으로, 최근 문제시 되었던 ‘벌레류’ 이물질이 3건, ‘머리카락’이 3건, ‘기타 이물질’이 8건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기타 이물질’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고무패킹으로 보이는 조각, 플라스틱 조각, 정체를 알 수 없는 부유물 및 결정체 등이 대부분이었다. 제조업체별 신고 현황을 살펴보면 ‘㈜세운메디칼성환공장’제품이 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신창메디칼’이 14건, ‘㈜두원메디텍’ 9건, ‘성원메디칼(주)’ 6건, ‘㈜에스비디메디칼’과 ‘
환자분류와 질병분류의 이해도를 높이고 활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제작한 분류체계 교육 동영상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를 통해 지난 28일 공개했다. 분류체계 교육 동영상은 '환자분류체계의 이해와 활용', '질병분류체계의 이해와 활용' 등 총 2편(편당 20분 분량)으로,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차장이 직접 강의하여 이해하기 쉽게 제작되었다.환자분류체계의 이해와 활용은 환자분류체계의 정의, 법적근거, 필요성, 한국형 환자분류체계 종류, 활용범위 등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질병분류체계의 이해와 활용은 한국표준질병 · 사인분류(KCD) 개요, 건강보험영역에서의 KCD 활용과 청구질병코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정보제공 · 모니터링 현황 등으로 구성됐다. 심평원은 교육 동영상을 홈페이지(www.hira.or.kr>심평 TV>심평 교육>교육영상)와 유튜브 등 SNS에 배포함으로써 의료계 등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분류체계에 대한 인지도 및 이해도를 높여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심평원 공진선 의료분류체계실장은 "현직에서 업무를 담당하는 차장이 강사로 나서 전문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였으며, 교육
거대세포종 환자는 수술 후 4년간 폐 전이 검사를, 재발한 경우엔 재수술 후 3년까진 검사를 필수로 해야한다는 검사기준이 나왔다. 서울대병원은 정형외과 한일규 교수팀이 이같은 내용을 국제 저명 학술지 ‘(종양 외과학)’Journal of Surgical Oncology 최근호에 게재했다고 29일 밝혔다. 거대세포종은 관절 주변의 뼈에 주로 생기는 경계성 종양이다. 연간 100만명 당 1.2명 꼴로 나타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국내 발병자는 연간 100-200명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사회 및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는 20-45세의 비교적 젊은층에 많이 발병한다. 경계성 종양은 양성과 악성종양(암)의 중간 정도의 공격성을 나타내는 종양으로, 수술 부위 재발이 흔하다. 거대세포종은 악성종양은 아니지만, 약 9%의 환자에선 폐로 전이가 이뤄진다. 이로 인해 환자가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연구팀은 1996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병원에서 치료 받은 거대세포종 환자 333명을 대상으로 폐 전이 경과를 추적관찰 했다. 그 결과 7%의 환자에서 폐 전이가 발생했다. 전이는 대부분(76%) 수술 후 4년 이내에 나타났다. 특히 수술 부위에 거대세포종이 재발하면 폐 전이
척추 후만증은 등이 솟고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척추의 변형이다.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오래 서 있거나 장시간 걸을 수 없는 상태로 이어진다. 세월의 흐름 속에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생리적인 후만곡이 증가하고, 폐경기 후 또는 노인성 골다공증으로 인한 척추의 압박골절로 발생한다. 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이정희 교수의 도움말로 척추 후만증에 대해 알아본다. ◆ 손주 육아 담당하는 조부모, 척추 건강 적신호 최근에는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손주 육아를 담당하는 조부모가 증가한 것도 척추 후만증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이정희 교수는 "20~30년 만에 다시 찾아온 육아는 조부모에게 고된 일"이라며 "50~60대 여성이 아이를 안고, 씻기는 등 하루 종일 챙기는 행동은 척추건강에 적신호"라고 설명했다. ◆ 추석에 부모님 허리, 팔꿈치부터 살펴봐야 허리의 굽은 정도를 자각하기는 어렵다. 추석에 부모님을 봤을 때, 허리의 굽은 정도가 이전보다 심한지 살펴봐야 하는 중요한 이유이다.허리와 함께 살펴봐야 하는 부분은 팔꿈치의 굳은살이다. 이는 허리가 앞으로 굽으면 일상생활에서 팔꿈치를 기대고 집안일을 하기 때문에 이전에 없던 굳은살이 생길 가능
3,800여개의 비급여를 전면 급여화 하려면 법이 정한 다양한 절차를 거쳐야 하고, 그 과정에서 수가협상, 본인부담 비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 및 의결에 따라 건강보험 재정지출 규모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간사인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은 절차상 심각한 하자가 있을 뿐만 아니라 30조6천억원의 재정추계 또한 엉터리라 주장했다. 실제로 현행 국민건강보험법 제45조에 따라 행위에 대한 요양급여 비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이사장과 의약계 단체들이 협상을 통해 계약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고, 협상이 결렬될 경우 최고 심의·의결기구인 건정심의 결정을 통해 정하도록 되어 있다. 법이 이러한 절차를 규정한 취지는, 정부의 독단적 결정을 견제하고 의료계 단체와의 협상을 통해 적정수가를 보장하여 의료의 질을 높이고,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건강보험정책의 수용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그런데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발표한 소위 문재인 케어의 추가 소요재정 예상 30조6천억원은 이러한 법적 협상절차와 건정심의 심의·의결 절차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추계한 값으로서, 전망치 자료
암젠코리아의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가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적용 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고시에 따라 오는 10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 목록에 등재된다.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28일 서울 소공동 소재 더플라자 호텔에서 '프롤리아(성분명 데노수맙)'의 보험급여 적용 관련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프롤리아의 치료효과과 안전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리를 가졌다. '프롤리아'는 최초이자 유일한 RANKL 표적 골다공증 치료제로, 6개월에 1회 투여하는 피하주사제다. 지난 2016년 11월 국내에 비급여 출시된 후, 혁신적 기전을 바탕으로 우수한 임상적 유용성과 비용효과성을 인정받아 출시 1년여 만에 급여권 진입에 성공했다. 특히 이번 급여 결정은 최근 정부가 모든 비급여 항목을 해소하기 위해 발표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과 맞물려, 급여화까지 수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됐던 기존 골다공증 치료제와 달리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이번 고시에 따라 급여가 적용되는 대상은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를 1년 이상 충분히 투여했음에도 새로운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하거나, 1년 이상 투여 후 골밀도 검사 상 T-score가 이전보다 감
한국애브비(대표이사 유홍기)와 한국에자이(대표이사 고홍병)는 보건복지부의 고시에 따라 10월 1일부터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 4세 이상의 소아 및 청소년의 중증 만성 판상형 건선 환자로, 기존 치료제(메토트렉세이트, 사이클로스포린, 광화학치료-PUVA, UVB)로3개월 이상 치료하였음에도 반응이 없거나, 부작용으로 치료를 지속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 보험급여가 확대됐다고 27일 밝혔다. 100% 인간 항 종양괴사인자(TNF-α) 단일클론항체 제제 휴미라는, 만 4세 이상 소아 판상 건선 치료에 허가받고 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최초이자 유일한 생물학적 제제이다. 소아 판상 건선은 만성 자가면역질환으로, 표피세포가 빠른 속도로 과도하게 쌓이면서 생기는 염증성 인설로 피부가 두꺼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소아 건선은 소아 인구의 0.7%에서 발병하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 건선은 성인 건선과 비슷한 특징을 보이지만, 소아 건선의 병변은 보통 더 작고, 두께가 더 얇고 인설도 적다. 만성적인 피부질환과 같은 신체적 어려움 뿐만 아니라 환자의 정서와 심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휴미라의
집단시설 종사자 잠복결핵감염 검진 결과 ▲의료기관은 18.4% ▲어린이집은 20.2% ▲사회복지시설은 29.5%로 나타났다. 27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3월부터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 내 결핵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보건당국 주관으로 시행하고 있는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 추진 결과다. 검진대상자 대상자 수 검진자 수 (검진율) 양성자 수 (양성률) 평균연령 집단 시설 종사자 의료기관 120,000 115,389 (96.2) 21,240 (18.4) 36.6세 어린이집 140,000 110,682 (79.1) 22,411 (20.2) 39.9세 사회복지시설 118,000 72,604 (61.5) 21,386 (29.5) 47.0세 계 378,000 298,675 (79.0) 65,037 (21.8) 40.4세 보건복지부는 “양성률의 차이는 집단시설별 차이라기보다는 연령구조, 즉 고연령층이 많을수록 양성률이 높아지는 경향, 집단별 평균연령의 차이로 집단 간 통계 비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8월 31일 기준, 의료기관,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검진 대상자 약 37만 8천 명 중 79.0%(298,675명)에 대해 검진
늘어나는 금연치료 참여자 수로 상반기에만 금연치료 상담·약제비의 57% 소진돼, 연말까지 치료 지원 예산 부족 전망이라고 지적됐다. 금연치료 지원사업 활성화와 지역 불균형 해결이 시급한 시점이다. 27일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석진 의원(자유한국당, 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군)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금연치료 지원사업 참여자 수는 ▲2015년 22만 8,792명, ▲2016년 35만 8,715명, ▲2017년 상반기 23만 3,108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참여자가 늘고 금연 사업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올해 병·의원 금연치료 지원 예산 725억원 중 6월 말까지 423억원(57%)이 집행됐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고 높아진 참여율이 유지될 경우 올해 병의원 금연치료 예산이 부족할 가능성도 전망되고 있다. 이에 비해 금연치료 의료기관 참여율은 여전히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금연치료 의료기관으로 등록한 기관은 올해 7월 31일까지 총1만2,448개소인 반면,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한 3개월 이내 치료 기록이 있는 금연치료 의료기관은 7천여 개에 불과하다. 즉, 금연치료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의 컨슈머헬스케어 사업부는 GS샵(대표 허태수)과 기업 제휴 계획(Joint Business Plan, 이하 JBP) 조인트 협약을 전격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 20일 사노피 본사에서 사노피 컨슈머헬스케어 김의성 사업부서장과 GS샵 모바일사업부 우재원 상무가 참석한 가운데 JBP 체결식을 갖고, 향후 협력 강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사노피는 이번 조인트 협약 체결에 따라 자사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세노비스’의 온라인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객 통합 분석을 기반으로 소비자 맞춤 혜택과 브랜드 기획전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노피 컨슈머헬스케어 김의성 사업부서장은 “이번 JBP 체결을 통해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소비자의 구매 편의를 높이는 동시에 온라인 커머스 환경에 최적화된 마케팅 활동을 펼쳐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세노비스가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로써 소비자의 니즈를 한 발 앞서 파악하여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호주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세노비스는 79년간 쌓아온 글로벌 노하우와 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개인정보보호법 준수를 위한 고객정보 암호화 등 정보시스템 개인정보보호 강화 작업과 관련하여, 공단에서 운영 중인 홈페이지 서비스가 2차에 걸쳐 일시 중단된다고 27일 밝혔다. 중단되는 서비스는 요양기관 정보마당, 건강검진기관포털, 건강정보 건강iN, EDI(웹, KT)이며, 1차 작업은 10월 7일 20시부터 10월 9일 20시까지, 2차 작업은 10월 14일 22시부터 10월 15일 18시까지 서비스가 중단된다. 다만, 진료 받을 목적으로 병·의원 등을 방문하는 국민들의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양기관에서 사용하는 ‘수진자 자격조회 서비스는 정상 가동한다. 아울러, 서비스 중단 내용은 공단 홈페이지에 공지되며, 공단과 전산업무를 연계하는 각 유관기관 등에도 관련 내용을 통보하는 등 서비스 중단에 따른 사전 안내를 실시한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이번 작업이 완료되면 국민의 민감한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이 강화되어 더욱 안전한 건강보험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D(만성폐쇄성폐질환)로 인한 국내 사회경제적 부담비용이 년간 1조4,214억7,300만원으로 나타났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는 제 15회 폐의 날을 맞아 2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COPD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COPD의 조기진단 필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지촉구와 함께 사회경제적 부담비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경제적 부담비용의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보험의료비용 2,340억, 비공식 의료비용 500억, 간병비 5626억, 교통비 48억, 생산성 소실 4612억, 조기사망비용 1,090억 등으로 집계됐다. COPD는 담배 연기, 공해 등 유해 가스에 의해 폐에 염증성 손상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주요 증상이다. 중증으로 진행되는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숨이 차게 되고 산소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국내 사망원인 중 7위, 장애보전손실년수(Diability Adjusted Life Years; DALYs, 어떤 조건 때문에 잃게 된 수명과 장애로 인해서 잃은 수명을 합한 개념으로 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을 측정하는 수치)는 남자 7위와 여자 3위에 해
병·의원, 요양병원, 약국, 한방병원 등 의료기관들의 건강보험 부당청구액이 빠르게 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추진 중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 시행을 앞두고, 부당청구 의료기관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서울 성북을, 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요양기관 현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6년 병·의원, 요양병원, 약국, 한방병원 등 의료기관의 부당청구액은 총 381억4,622만원이었다. 3년 전 118억9,639만원 대비 3배 이상 많은 금액이다. 같은 기간 적발 건수는 658건에서 742건으로 늘었다. 한 의료기관 당 평균 적발액은 1,807만원에서 5,141만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유형별로는 병원급 의료기관의 부당청구액이 총 136억7,259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요양병원(113억5,344만원)이었다. 의원과 약국이 각각 95억8,708만원, 16억3,897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병원과 요양병원의 부당청구액 증가세가 가장 격증했다. 병원은 2013년 22억1,679만원에서 2016년 136억7,259만원으로 517% 급증했고, 같은 기간, 요양병원도 20억2,851만원에서
㈜호수의나라수오미에서 제조ㆍ판매하는 ‘순둥이 물티슈’가 추석 선물로 눈길을 끈다. 26일 ㈜호수의나라수오미에따르면 추석 시즌을 맞아서 ‘순둥이 물티슈’가 전년대비 두 자리 숫자 이상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수오미 관계자는 “제품은 민감한 아기 피부를 위해 초순수 정제과정을 거친 깨끗한 물과 한국산 '클라라(Clara)' 원단으로 만들어졌으며, 안정성 강화를 위해 독일 더마테스트 및 국가공인시험 기관인 'KTR'과 'KOTITI' 등 다수의 기관에 매년 20회 이상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선물세트는 ‘출산준비 구성’과 ‘알뜰 구성’ 2가지 타입으로 준비돼 있으며, 원하는 상품을 박스로 구매해도 좋다. 제품은 순둥이몰(http://mall.suomi.co.kr)에서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순둥이 물티슈는 “순한 아기 물티슈 순둥이, 엄마의 마음을 담다”라는 슬로건으로 지난 2009년 설립한 아기 물티슈 브랜드로, 지난해 한국 소비자원에서 실시한 살균, 보존제 및 미생물 시험 조사결과 모든 사항에 ‘불검출’로 안정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종근당고촌재단(이사장 김두현)은 글로벌 인재육성을 목표로 베트남과 르완다에서 진행해온 해외 장학사업 범위를 인도네시아까지 확대해 올해 3개국 대학생 52명에게 등록금 전액을 지원한다고 26일 밝혔다. 종근당고촌재단은 인도네시아 저소득가정 대학생 중 학업성적이 우수한 19명을 장학생으로 선발해 25일과 26일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과 국립대학에서 장학증서 수여식을 가졌다.이들에게는 대학 졸업 때까지 등록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재단은 매년 졸업하는 장학생 수만큼 추가 장학생을 선발하고 내년부터는 국내 대학원에 입학하는 인도네시아 학생에게도 등록금 및 체재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재단은 이에 앞서 지난 21일과 22일 베트남 하노이 약학대학과 호치민 의약학대학에서 장학증서 수여식을 갖고 20명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 글로벌 리더 장학생으로 선발돼 성균관대와 가천대, 영남대 대학원에 재학중인 베트남 학생 3명에게도 등록금과 체재비 등을 제공한다. 오는 10월에는 르완다 국립대학생 10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은 “인도네시아는 경제∙산업 측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라며 “인도네시아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끌 핵심 인재를 육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