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파브리병 약 갈라폴드, 여성환자 장기지속 효과 국제학술지 게재

2025-10-27 10:54:46

심장, 신장 기능, 파브리병 관련 임상 사건에 대한 갈라폴드 장기지속 효과 확인

순응변이를 가진 파브리병 경구용 치료제 갈라폴드(성분: 미갈라스타트)의 여성 환자 대상 장기지속효과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Journal of Medical Genetics’ 9월호에 게재됐다. 갈라폴드는 세계 최초의 경구용 순응변이를 가진 파브리병 치료제로 아미커스가 개발했으며 한독이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한 파브리병 환자등록연구 결과에 따르면 약 1천여명의 환자 중 파브리병을 앓고 있는 여성들이 상당한 질병의 심각성과 부담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9.4%의 여성 환자에게 파브리병 증상이 나타났고 그 중 43%는 심각한 증상에 해당이 되었다. 심혈관 질환은 파브리병을 앓는 여성에게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으로 파브리병 여성환자의 심혈관 관련 사망은 전체 사망의 50~57%를 차지하며, 사망 연령은 평균 64~66세로 보고되었다.
 
파브리병은 GLA 유전자 변이로 인해 α-갈락토시다제 A 효소가 결핍되거나 감소하는 진행성 X염색체 연관 리소좀 축적 질환이다. X염색체로 유전되는 희귀질환이기 때문에, 파브리병을 앓고 있는 여성 환자들은 이 질환의 ‘보인자’로만 알려지며 여성 환자들의 진단 지연과 증상에 대해 과소평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왔다. 

파브리병이 의심이 될 때 효소활성도 검사로 1차 스크리닝이 진행되는데 여성 파브리병 환자는 효소 활성도가 정상범위에 있는 경우가 많아 확진을 위해서는 유전자 검사가 필수이기 때문에 스크리닝으로 놓쳐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번 연구는 갈라폴드 임상 3상인 FACETS와 ATTRACT 및 각 연구의 OLE에 포함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된 사후 분석이다. 여성 환자 대상 심장, 신장 기능 및 파브리병 관련 임상 사건(FACEs, Fabry Associated Clinical Events)에 대한 갈라폴드의 장기지속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에 포함된 여성 환자는 총 60명이였으며 이들의 갈라폴드 복용 기간은 평균 5.1년, 최대 8.5년이었다. 베이스라인 연령 중앙값은 47세이였으며 환자 중 70%는 연구 등록 시점에 다장기 침범(2개 이상 장기 침범: 신장, 심장,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및 위장관)이 있었다.
                                                                                                                                          
연구 결과, 갈라폴드로 치료를 받은 여성 환자의 신장 및 심장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 시점에 좌심실 비대와 eGFR 관계없이, 평균 eGFR 연간 변화율은 전체적으로 -1.1mL/min/1.73m2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한 성인 환자의 eGFR 연간 변화율인 -1mL/min/1.73m2과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좌심실 질량 지수의 연간 변화율은 1g/m2 이하로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이와 더불어, 연구 등록 시점에 68.3%의 환자는 파브리병 관련 임상 사건 경험이 있었으나 갈라폴드 투약 기간 동안에는 87%의 환자에서 파브리병 관련 임상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 8명의 환자에서 10건의 파브리병 관련 임상사건이 발생했고 그 중 7건은 심장, 3건은 중추신경계였으며 신장 관련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
 
갈라폴드는 현재 미국, 영국, 호주, 일본, 유럽 등 45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2017년 품목허가를 받았다. 2019년 순응변이 파브리병 치료를 위해 보험급여를 적용 받았었고 올해 8월 파브리병 2차 치료제에서 1차 치료제로 급여가 확대됐다.
 
치료 방식 측면에서, 효소대체요법은 2주에 한 번씩 병원 방문 및 정맥 투여가 필요하며, 갈라폴드는 경구 제형으로 환자가 이틀에 한알씩 자가 복용한다. 첫 6개월은 30일에 1번 처방, 이후부터는 60일에 1번 처방이므로 1년에 6번~9번만 병원 방문하면 된다. 병원 방문 횟수를 줄여 파브리병 환자의 투약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일상생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효소대체요법은 정맥 주사를 통해 외부에서 알파-갈락토시다제 A 효소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반면에 갈라폴드는 효소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내인성 기전으로, 알파-갈락토시다제 A 효소를 안정화시켜 리소좀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며 작은 분자량과 넓은 체내 분포 특성을 가진다.



노영희 기자 nyh2152@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