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SK(한국법인 대표 마우리치오 보르가타)는 자사의 남성형 탈모 치료제 아보다트(성분명 두타스테리드)와 관련해 의료진을 대상으로 ‘2025 MZ심포지엄’을 지난 22일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밝혔다.
MZ심포지엄에서 ‘MZ’는 ‘M type 탈모치료에 Z금 바로 아보다트’라는 이번 심포지엄 슬로건의 줄임말로, 이번 심포지엄에서 2030 젊은 연령층에서의 남성형 탈모로 인한 삶의 질 문제가 심도있게 논의됐다. 또한, 5-알파환원효소 1, 2형을 모두 억제해 M자, V자 등 다양한 유형의 남성 탈모를 치료하는 오리지널 듀얼 억제제(Dual inhibitor) 아보다트에 대한 다양한 임상 연구결과들도 공유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남성 탈모 환자 중 절반에 가까운 44.5%를 20·30대가 차지하고 있을 만큼 젊은 세대의 탈모는 더 이상 일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젊은 연령에서의 탈모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으로 증상이 일찍 발생할수록 환자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남성형 탈모 환자 402명를 대상으로 탈모로 인한 삶의 질 문제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환자의 정서, 증상, 사회적 기능 등을 토대로 삶의 질을 평가한 스킨덱스(Skindex) -29 지수 평가에서 20대 환자군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29.1±20.2점) 30대 환자군(24.1±20.4점)이 그 뒤를 잇는 등 나이가 어릴수록 삶의 질이 더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를 받은 환자 123명 중 단 24명(19.5%)만이 치료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불만족의 가장 큰 이유로 효과 부족(81명, 81.8%)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남성형 탈모 치료 시 탈모 증상 개선과 정서적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젊은 연령에서부터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는 점이 논의됐다.
이러한 남성형 탈모의 치료의 중요성과 함께 아보다트의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공유됐다. 국내 남성형 탈모 환자에서 두타스테리드 0.5mg 치료의 5년간의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해 발표된 실제 임상 근거(Real-World Evidence, RWE)연구에 따르면, 두타스테리드 0.5mg을 복용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치료 시작 후 5년까지 임상적 개선이 유지됐으며, 20-49세 환자군의 IGA(Investigator Global Assessment, +3 크게 개선됨, +2 중간 정도 개선됨, +1 약간 개선됨, 0 변함없음, 평균 IGA 점수 >1)점수가 1, 2년 차에 가장 높았다(20-39세 환자군 치료 1,2년차 각 2.33점, 40-49세 환자군 치료 1년차 2.09점, 2년 차 2.07점). 치료 5년 차에도 1.5점 이상을 보였다(P<0.005).
아보다트의 장기간 효과와 안전성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다른 국내 RWE연구에 따르면, M자형 탈모에 대해 두타스테리드 0.5mg 복용 환자군에서 다른 남성형 탈모 치료제 환자군 대비 높은 개선 효과를 보였다(adjusted IRR = 2.06, (p=0.029)). 국내 남성형 탈모 환자에서 가장 흔한 유형은 M자형 탈모로, 남성 환자의 82.2%가 M자형 탈모 증상을 보인다는 국내 역학 연구결과도 있다.
또한, 남성형 탈모 환자 대상으로 진행된 여러 연구를 토대로 지난 해 발표된 메타 분석 방식의 연구에 따르면, 두타스테리드 0.5mg은 약물 투여 24주차에 다른 남성형 치료제 투약군 및 위약군 대비 모발 밀도를 유의하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 관련 이상사례는 치료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국GSK 제네럴메디슨 사업부 이동훈 전무는 “아보다트는 다양한 유형의 남성형 탈모 중 특히 M자형 탈모에 강점을 보이는 오리지널 남성형 탈모 치료제로서, 최근까지 RWE연구, 메타분석 연구결과 등을 통해 꾸준히 임상적 가치를 증명해왔다. 최근 2030세대에서부터 남성형 탈모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MZ심포지엄을 통해 젊은 연령층에서의 조기 탈모 치료의 중요성과 함께 탈모환자의 외모 변화에서 야기될 수 있는 자신감뿐 아니라 본질적인 삶의 질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치료 전략이 활발히 논의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