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티스, 면역성혈소판감소증 약 ‘레볼레이드’ 비장절제술 없어도 급여

2024-06-03 10:32:39

환자 미충족 수요 해결 및 처방 확대 기대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자사의 면역성혈소판감소증 치료제 레볼레이드(성분명:엘트롬보팍 올라민)가 비장절제술 없이 급여 처방이 가능하도록 2024년 6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 적용 범위가 확대됐다고 밝혔다.

레볼레이드는 이번 급여 확대로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들에서 비장절제술 없이 급여 처방이 가능해졌다. 레볼레이드의 급여 인정 투여대상이 기존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면역 글로불린에 불응인 비장절제 환자/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면역글로불린에 불응인 비장절제술이 의학적 금기인 환자’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면역 글로불린에 불응인 환자’로 개정됐다.

레볼레이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글로불린 또는 비장절제술에 충분한 반응을 보이지 않은 만성 면역성(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에서의 저혈소판증 치료제로 대표적인 TPO-RA(TPO-Receptor Agonist, 혈소판 작용체 수용제) 치료제다. TPO 수용체를 자극해 혈소판 생성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통해 혈소판 생성 기능을 촉진함으로써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레볼레이드는 EXTEND 3상 임상연구를 통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에서 장기 치료 효과와 환자 삶의 질 개선 혜택까지 확인했다. 추적기간 최대 8.8년(중앙값 2.4년)의 장기간 연구 결과, 임상 연구 2주차에 혈소판 수 중앙값이 50x109/L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85.8%의 환자가 구제 치료(Rescue Therapy)없이 최소 1회 이상 혈소판 수 50x109L 이상을 달성했다. 

또한 52%의 환자에서 이러한 반응이 최소 25주 이상 지속되는 등 빠른 혈소판 반응과 효과의 장기 유지 결과를 확인했으며, 출혈 위험을 베이스라인 대비 절반 이상 감소시키는 등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했다. 또한 치료 3개월 이내에 환자들이 가장 큰 어려움을 호소하는 피로감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5년 이상 지속되며 전반적인 환자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환자에서 비장절제술은 혈소판이 파괴되는 장기인 비장을 제거함으로써 혈소판 수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지만, 비장절제술 이후 전신 마취 관련 사망률 및 감염, 정맥혈전색전증과 같은 장기 합병증과 같은 부작용의 우려가 있는 치료 방법이다. 그동안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들이 레볼레이드를 급여 처방받기 위해서는 비장절제술이 선행돼야 했다. 

이번 급여 확대를 통해 비장절제 선행조건 없이도 급여 처방이 가능해져 환자들의 치료부담 감소와 더불어 국내외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인 TPO-RA치료제 우선 사용이 실제 진료현장에서 적용 가능해졌다.

국내외 가이드라인은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에서 비장절제술보다 레볼레이드와 같은 TPO-RA치료제를 우선 권고하고 있다. 
미국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와 국제 컨센서스 보고서(International Consensus Report) 등 주요 글로벌 가이드라인에서는 비장절제술보다 TPO-RA 치료제를 우선적으로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도 지난해 3월 대한혈액학회가 발표한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관리 지침 업데이트(Management of immune thrombocytopenia: 2022 update of Korean experts recommendations)에서도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 치료에서 비장절제술보다 레볼레이드와 같은 TPO-RA 치료제를 권고한 바 있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장준호 교수는 “면역성혈소판감소증 치료에 있어 레볼레이드와 같은 TPO-RA 치료제가 비장절제술에 앞서 권고되고 있었지만 급여 처방을 위해 환자들은 여러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비장절제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제한점이 존재했다”며, “이번 급여 확대로 인해 국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들이 업데이트된 진료지침에 맞는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앞으로 더 많은 환자들이 레볼레이드의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국노바티스 혈액암사업부 이지윤 상무는 “이번 보험급여 확대를 통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들이 미충족 수요가 해결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국내 환자들이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진료 지침에 맞는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국노바티스가 해온 노력이 결실을 맺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한국노바티스는 앞으로도 국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 기회를 제공하며 온전히 치료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노영희 기자 nyh2152@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