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2021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가해 자사의 신약 R&D 파이프라인을 홍보했다고 14일 밝혔다. 일동제약은 JP모건 콘퍼런스 원-온-원 파트너링에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해 △대사질환치료제 △간질환치료제 △안과질환치료제 △고형암치료제 등 자사가 보유한 신약 연구과제 및 관련 후보물질들을 공개했다. 특히, GPR40(G단백질결합40수용체) 작용제 기전을 가진 제2형당뇨병치료제 신약후보물질 ‘IDG-16177’과 FXR(파네소이드X수용체) 작용제 기전의 NASH치료제 신약과제인 ‘ID11903’의 경우 독일의 신약개발회사 에보텍과 제휴를 맺고 비임상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또한, VEGF-A(혈관내피생성인자-A)와 NRP1(뉴로필린1수용체)에 작용해 망막의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노인성황반변성치료제 신약과제 ‘ID13010’은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비임상 연구 및 임상용 시료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직접투자를 통해 40%의 지분 권리를 확보하고 공동개발을 진행 중인 ‘iCP-Parkin’ 또한 해당 컨퍼런스에 함께 참가한 신약개발회사 셀리버리를 통해 소개됐다. iCP-Parkin은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변화하는 영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비대면 마케팅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동제약 측은 자사의 온라인 의약품몰 ‘일동샵(ILDONG-SHOP)’, 의료정보 플랫폼 ‘후다닥(WHODADOC)’과 관련해 거래처 및 회원 수 증대, 실적 성장 등 가시적 성과를 거뒀다고 12일 밝혔다. 일동샵은 일동제약의 계열사인 일동이커머스가 운영하는 약사 대상 B2B(Business to Business) 온라인 의약품몰로, 일동제약의 의약품과 컨슈머헬스케어 품목 등을 판매하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일동샵은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만 7700여개 약국을 회원 거래처로 보유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기존의 오프라인 직거래 약국을 일동샵 회원으로 전환하는 온라인 거래처화 작업을 100% 완료하였으며, 월별 거래처 가동률 또한 90% 내외를 유지하는 등 안정적인 궤도에 올라섰다. 이에 힘입어 일동이커머스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9%와 98% 가량 성장했으며, 일동제약의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등을 아우른 CHC(컨슈머헬스케어) 부문의 매출 또한 전년보다 약 30% 증가했다. ETC(전문의약품) 사업과 관련해 일
일동제약(대표 윤웅섭)과 코오롱제약(대표 전재광)이 가글형 입병치료제 ‘아프니벤큐액(일반의약품)’ 코프로모션 및 유통과 관련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양사는 아프니벤큐액에 대한 마케팅 활동을 공동 추진하고, 일동제약은 약국 유통을 담당하게 된다. 아프니벤큐액은 진통소염 성분인 디클로페낙이 함유된 가글형 치료제로, 치은염, 구내염, 인두염 등으로 인한 입안 염증 완화에 효과를 갖고 있으며, 기존 치료제의 단점으로 꼽히는 사용 시 통증, 이물감 등을 완화한 제품이다. 아프니벤큐액은 가글을 하는 동안 디클로페낙 성분이 입안 점막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특허 받은 CDS공법을 적용해 디클로페낙 성분의 용해도를 높여 효과가 빠르게 발현될 수 있도록 했다. 디클로페낙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진통, 항염,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분자 크기가 작아 피부를 통한 약물 전파에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 성분, 알코올 성분이 들어있지 않아 관련 부작용을 줄였으며, 1회용 파우치 포장을 채택해 휴대와 사용을 간편하게 한 것이 특징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코오롱제약 정갑용 헬스케어 사업부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은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의 ‘지속가능개발목표 헬프데스크(SDG Help Desk)’를 통해 개최된 ‘지속가능한 민간부문(Sustainable Private Sector)’ 국제 웨비나에서 자사의 친환경 경영이 우수사례로 소개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 주제발표 및 후원기관으로 참여한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 협회 측은 일동제약 및 일동홀딩스의 미세먼지 저감 캠페인, 친환경 제조공정 도입 노력 등이 친환경 책임 사례(Green and Responsible Practices)로 주목 받았다고 설명했다. 일동제약과 일동홀딩스는 UN SDGs 협회의 회원사로 활동하며 환경 등 사회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일동제약은 해당 협회가 주관하는 ‘2020 글로벌 지속가능 기업’ 및 ‘2020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UN SDGBI) 1위 그룹’에 선정된 바 있다. 지난해 일동홀딩스 및 일동제약은 UN SDGs 협회와 미세먼지 개선과 관련한 특별 캠페인 업무 협약을 맺고 캠페인용 마스크를 별도로 제작해 공급하는 등 미세먼지 저감 활동에 동참했다. 또, 일동제약의 경우 전 생산공정에 대해 환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편두통치료제 라스미디탄(lasmiditan, 성분명)과 관련한 가교3상임상시험을 종료하고, 해당 약물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라스미디탄은 뉴로펩티드 방출을 저하시키고 삼차신경을 포함한 통증전달경로를 억제함으로써 편두통 치료에 효과를 발휘하는 고친화성, 중추신경 침투성, 선택적 세로토닌 1F(5-HT 1F) 수용체 작용제다. 일동제약은 지난 2013년 라스미디탄과 관련한 한국 및 아세안 8개국 판권을 확보했으며,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한국인 편두통 환자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가교3상임상시험 계획을 승인 받은 바 있다. 해당 임상시험은 노원을지병원, 서울대병원, 연세대세브란스병원, 강북삼성병원 등 국내 13개 기관에서 편두통 환자 29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임상시험 결과, 투약 2시간 후 편두통 통증이 해소된 환자의 비율이 위약 대비 라스미디탄 50mg 투여군은 1.2배, 라스미디탄 100mg 투여군은 2.0배(오즈비, Odds ratio)로 나타나, 1차 목적을 달성했다. 2차 평가변수인 투약 2시간 후 편두통 통증이 완화된 시험 대상자 비율의 경우 라스미디탄 50mg 투
지속적인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는 요즘, 국민들의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주는 제약사들의 특별한 예술 활동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각 예술 활동들은 코로나19를 고려한 만큼 온라인을 통해서도 만나볼 수 있어 많은 국민들에게 위로를 전하고 있다. JW그룹이 장애 예술 작가들을 대상으로 시상식과 전시회를 개최해 창작 활동 기회 보전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현대약품은 온라인 연주회를 통해 국민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마련했다. 한국다케다제약은 소아 환우들의 눈높이에 맞춰 건강 정보를 담은 연극을 선보여 의미를 더하기도 했다. 또, 일동제약은 자사 제품을 활용해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면서 홍보 효과를 거둬가는 등 제약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예술 부문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JW그룹, 장애 예술인들에게 작품활동의 기회 제공 JW그룹의 공익복지재단 중외학술복지재단이 서초동 본사에서 ‘2020 JW 아트 어워즈’를 개최해 수상자를 발표하고 작품을 전시했다. ‘JW 아트 어워즈’는 장애 예술인들의 창작 기회를 제공하고 장애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없애기 위해 마련됐으며, 총 상금 규모는 2300만원으로 장애인 미술대전 중 최고 수준이다. 대상은 한국의 전통적 채
11월 중 많은 제약사들의 최대주주 소유주식 현황이 변동됐다. 매수한 사례도 매도한 사례도 많았지만, 소유했던 모든 주식을 매도한 경우가 유난히 많았다. 또, 매수‧매도에 특별한 사연이 담긴 주주도 있어 많은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보령제약, 김승호 회장의 사회공헌 의지 반영된 매수 보령제약의 경우 ㈜보령홀딩스와 보령제약 김승호 회장이 주식을 매수했다. ㈜보령홀딩스는 1833만 8405주의 주식을 시작으로 4일 2만 785주, 5일 6만 6030주, 6일 3만 8500주, 9일 7만 8803주를 매수해 현재 1854만 2523주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 전체 주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8.94%다. 보령제약의 김승호 회장(이하 김 회장)도 자사 주식을 사들였다. 0주에서 시작해 10일 6만 5255주, 11일 6만 4586주, 12일 6만 3262주, 13일 7만 588주, 16일 4031주를 구매해 현재 26만 7722주를 보유하고 있다. 김 회장의 주식 매수는 공익재단 출연을 위한 지분 매입으로 알려져 관심이 모아지는데, 김 회장은 평소에도 사회공헌 사업에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 보령 출신의 그는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 태어나 서울에서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자사의 비오비타, 지큐랩, 미니멀레시피가 ‘우수 디자인(GD, 굿디자인) 상품’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우수 디자인 상품 선정’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이 각각 주최∙주관해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과 서비스를 선정하고 정부가 인증하는 GD(Good Design)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다. 비오비타는 1959년 첫 선을 보인 국내 최초의 유산균정장제로, 기존 비오비타의 정체성과 특장점은 살리고 균주 및 성분을 보강하는 등 올해 새롭게 리뉴얼한 온 가족 장 건강용 제품이다. 일동제약은 오랜 역사와 명성을 지닌 비오비타의 브랜드 자산을 이어나가는 것은 물론, 새롭게 탄생한 비오비타의 정체성 확립, 좋은 원료와 기능을 가진 제품 속성 표현 등에 중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비오비타의 상징색인 연두색과 녹색을 중심으로 패키지 색상을 적용하는 한편, 비오비타의 영문명 Biovita에서 철자 B와 O를 따와 웃는 얼굴 모습으로 형상화하고, 발음상 제품명이 연상되는 비(B), 오(O)를 이루도록 디자인했다. 지큐랩은 일동제약의 유산균 기술을 바탕으로 탄생한 프로바이오틱스 전문브랜드로, 이번에 굿디자인에 선정된 제품은 일반유통용 지큐
일동홀딩스와 일동제약의 3분기 실적이 공시됐다. 모두 매출액은 상승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로 확인됐다. ◆일동홀딩스, 매출액 1534억원 달성…전기 대비 4.2% 성장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534억원, 영업이익 -62억원, 당기순이익 -53억원이다. 2분기 매출 1473억원에 비해서는 4.2% 올랐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3분기에 마이너스 실적으로 전환되면서 적자 전환을 면하지 못한 모습이다. 작년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273억원, 영업이익 -103억원, 당기순이익 -31억원이었다. 작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20.5%, 영업이익은 40.0% 올랐으며 당기순이익은 67.8% 감소했다. ◆일동제약, 매출액 1465억원 달성…전기 대비 6.8% 성장 일동제약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465억원, 영업이익 55억원, 당기순이익 10억원으로 확인됐다. 지난 2분기 실적과 비교하면 매출액 1373억원에서 6.8% 상승했으며, 영업익 72억원에서 23.3%, 당기순이익 60억원에서는 82.6% 하락했다. 작년 3분기 매출액은 1296억원으로 올해 3분기에 13.1%나 상승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4000만원, -49억원에서 올해 흑자 전환에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은 유엔(UN) 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기구인 UN SDGs 협회가 주관하는 ‘2020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UN SDGBI) 1위 그룹’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UN SDGBI는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에 부합하는 경영 활동을 하는 국내외 기업들에 대해 사회, 환경, 경제, 제도 등 4개 분야의 12개 항목, 48개 지표 측면에서 평가하는 경영 분석 지수다. 특히, 유엔 아태경제사회이사회(UN ESCAP)의 지속가능경영 측정도구(Sustainable Business Tools and Methodologie)로 지정되는 등 지속가능 경영 및 ESG(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환경∙사회적 책임∙지배구조) 경영과 관련한 공신력 있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의 경우 전 세계 3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지수 및 국내 지수를 분석, 글로벌 기업 300여 곳과 국내 기업 150여 곳이 SDGBI 그룹으로 선정됐다. 올해 발표에서 일동제약은 총 6개 기업(CJ대한통운, 대한항공, SK, 일동제약, 현대엔지니어링, 현대홈쇼핑)이 선정된 ‘SDGBI 국내지수 1위 그룹’에 포함됐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