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일제약(대표 이한국)은 문희석 전 다케다제약 대표를 공동 대표이사(영업·마케팅 총괄)로 선임했다고 2일 밝혔다. 문희석 신임 대표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얀센 코리아, 한국BMS제약, 바이엘 코리아, 한국다케다제약 등 글로벌 제약사에서 35년 이상 영업과 마케팅 분야를 이끌어온 업계 전문가다. 한국다케다제약 대표 재임 시절 주요 신약의 성공적인 국내 출시 및 매출 확대를 주도하며, 시장 내 브랜드 리더십 강화와 조직 내 전문영업 체계 구축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뒀다. 건일제약은 이번 문희석 대표이사 선임을 통해 영업력 강화는 물론, 시장 다변화 및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등 중장기 사업 전략의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호흡기·심혈관·항생제 등 주요 치료 영역의 시장 확대와 영업 조직 강화를 통해 전문의약품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고,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에 중추적인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문희석 신임 대표는 “건일제약은 R&D 중심의 전문의약품 기업으로서 국내 제약 시장에서 독자적인 경쟁력을 구축해왔다”며 “앞으로도 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영업과 마케팅 경쟁력을
2025-07-02 11:38*부사장△지오영네트웍스 영업본부 강창로 *전무△지오영 RA/QA교육실 성희진△지오영 법무실 하백진 *이사△케어캠프 사업개발부 백하나
2025-07-02 10:33<부장 보임>*약제부장 민미나 <팀장 보임>*약무팀장 윤지연
2025-07-02 09:21*OTC부문 약국영업2본부장△상무이사 서승욱
2025-07-01 11:21한국아스텔라스(김준일 대표)는 신임 마켓액세스 총괄(Market Access Head)로 전 한국다이이찌산쿄 항암제 사업부 마켓액세스 총괄인 백소영 상무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백소영 상무는 향후 한국아스텔라스의 혁신 항암제인 ADC 치료제와 표적치료제를 포함해 현재 및 향후 도입될 혁신의약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등재 전략과 실행을 총괄한다. 백 상무는 숙명여대 경제학과 학사, 성균관대 약학대학 약물경제학 약학석사를 취득했고, 한국아스텔라스 합류 전 한국다이이찌산쿄, 사노피코리아, 한국MSD 등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의 마켓액세스와 마케팅 부서에서 약 18년 이상의 경험을 쌓아온 제약업계 베테랑이다. 백 상무는 한국다이이찌산쿄에서 지난해 4월 급여 등재된 유방암, 위암 치료제 엔허투의 신약 등재를 리드하며 정부와의 긴밀한 협업을 기반으로 해당 치료제가 15개월 만에 급여 등재되는 데 크게 기여한 바 있다. 또한 재직기간 조직의 성장과 개발을 위해 기여한 공로로 다이이찌산쿄 본사에서 주최하는 핵심 역량 우수 어워드(Core Behavior Award)의 개발 및 성장 부문에서 글로벌 TOP 3 직원 중 하나로 선정됐다. 이 외 한국MSD 마켓액세스 팀에
2025-07-01 11:01* 간호 3급 서지현
2025-07-01 09:31국립중앙의료원이 7월 1일 자로 신임 중앙응급의료센터장에 최대해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를 임용했다고 전했다. 최대해 신임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전공의 과정을 거쳐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응급의학과 과장 및 주임교수,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로 재직하는 등 지난 20여 년간 현장 중심의 응급의료 경험을 쌓아온 응급의학 전문가다. 2012년부터는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경북응급의료지원센터장도 역임해왔다. 또한, 대한재난의학회 이사장 등 학회에서 주요 직책을 수행하고 있으며, 정부·지자체 자문 및 평가에 다수 참여하는 등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응급의료 및 재난 대응 정책 수립과 활동, 제도 개선에 기여해왔다. 최근에는 「2025년 APEC 정상회의」 응급의료 분야 자문위원 및 전담 의료진으로 활동하는 등 국가 주요 행사에서도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최대해 신임 센터장은 응급의료 관리체계 구축 및 활성화를 통해 ▲이송·전원 ▲의료취약지 지원 ▲외상 ▲복합재난 등 신속 대응이 필요한 분야에서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전 과정에서 관계부처·기관, 전문가와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최대
2025-07-01 09:22*부사장△휴온스글로벌∙휴온스 윤인상 *상무이사△휴온스글로벌∙휴온스 손민아 *이사대우△휴온스 이승현△휴온스 박언정△휴온스 이태진△휴온스 한태용
2025-07-01 09:12*수석연구원△김희정 △이진수 △강창구 △곽미숙 *책임연구원△송정헌 △이정우 △이하람 △함현주 △박승주△차인준 △정안나 △김진아 △최성은 △한유진△전영신 △강소라 △김주연 △오미연 △이강호△김민석 △김유리 △이지희 △우한나 △박상현△이아름 △박민영 △이미경
2025-07-01 08:47*국립보건연구원 세균질환연구과장△보건연구관 유정식 (現 약제내성연구과장) *국립보건연구원 약제내성연구과장△보건연구관 배송미 (現 만성바이러스 연구과장)
2025-07-01 08:45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내과이준성 교수가 2025년 대한간암학회 정기 총회에서 제27기 대한간암학회 회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2025년 7월부터 2026년 6월까지 1년이다. 이준성 회장은 소화기내과를 전공하여 간암, 간염 및 간경변증 분야에서 많은 임상 경험과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이준성 회장은 “대한간암학회는 국내 사망률 2위인 간암 정복을 위해 지난 26년간 다학제적 협력과 연구, 학회지의 국제화 추진, 국내 간암환자의 대규모 데이터 구축, 간암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교육, 연구비 지원 등 다양한 학회 활동을 수행해 왔으며 해외 유수의 간암 학회들과 국제적인 교류 등을 통해 그 위상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27기의 임기에선, 진료 현장에서 실질적 도움이 되는 다학제 토론과 연구 공유의 장을 더욱 활성화하고, 최신의 간암 연구결과를 반영한 간세포암 진료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개정하겠습니다. 의?정사태로 중단되었던 간암 스쿨을 비롯한 교육 프로그램을 재개하고 젊은 연구자 연구 지원을 통해 미래의 젊은 간암 연구자들을 적극 발굴하고 지원하겠습니다. 또한 학회 규정 등을 재정비하여 더욱 내실 있는 학회로 거듭나고 학회 얼굴인 “Journal of
2025-06-30 11:25지노믹트리(대표이사 안성환)의 미국 현지법인 ‘프로미스 다이아그노스틱스(Promis Diagnostics)’가 ‘테오 드보스(Theo deVos)’ 박사를 수석 부사장(Senior Vice President)으로 영입했다고 30일 밝혔다. ‘테오 드보스’ 박사는 30년 이상 분자진단 분야에서 활동해 온 전문가로, 제품 개발 초기단계부터 임상, 규제, 보험,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진단제품 개발의 전주기를 폭 넓게 경험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진단기업인 ‘에피지노믹스(Epigenomics)’ 재직 당시 혈액 기반 대장암 조기진단 검사인 ‘에피 프로클론(Epi proColon)’의 개발 및 FDA 품목허가(PMA), CPT 코드 취득, 보험수가 등재 등을 주도한 경험을 갖고 있다. 이후 ‘아레스 제네틱스(Ares Genetics)’ CEO 및 ‘옵젠(OpGen)’의 사업개발 부사장을 역임하며 글로벌 진단사업에 기여한 바 있다. 지노믹트리의 미국 현지 자회사인 ‘프로미스 다이아그노스틱스’는 지노믹트리에서 개발한 체외진단(IVD) 제품의 미국 내 상용화를 전담하는 법인이다. 클리아 랩(CLIA LAB)과 CAP 인증 임상검사실을 설립해 미국 정부로부터 인
2025-06-30 09:48한국의사수필가협회는 6월 21일 제18차 정기총회를 열고 제9대 새 집행부를 구성했다. 제8대 유형준 회장은 코로나에 이어 의정사태의 어려운 역경에서도 제13, 14회 한국의학도 수필공모전과 한국의사수필가협회 공동수필 동인지 ‘제15집 별을 위한 시간’에 이어 ‘제16집 문득 그 향기가 그리운 날엔’의 발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에 깊이 감사하면서, 향후 한국의사수필가협회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했다. 장성구 제9대 신임회장은 8명의 전 의사수필가협회 회장의 활동과 헌신, 회원들의 관심에 감사하면서 “한국의사수필가협회(의수협) 회원들이 자발적, 능동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다짐했다. 장 신임회장은 “의료인의 인문학적인 활동, 그것을 의창 문학이라고 해도 좋고, 그 외에 다른 표현을 해도 좋다. 과거에 비해서 많은 의료인이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데, 이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의료 전문지의 인문학적 공간이 의료문제를 둘러싼 정치적 그리고 사회적 이슈가 불랙홀이 돼 인문학이 설 곳이 점점 사라지는 저급한 환경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의사들의 인문학적 활동의 뿌리를 찾는다면 조선 중엽 이후
2025-06-27 17:38경북대병원 핵의학과 안병철 교수가 아시아-오세아니아 갑상선학회(Asia and Oceania Thyroid Association, 이하 AOTA) 회장으로 선출됐다고 전했다. 이번 선출은 지난 6월 18일부터 22일까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제17차 세계 갑상선학회(International Thyroid Congress) 기간 중 AOTA 이사회(Council Meeting)에서 이루어졌으며, 임기는 2025년 6월부터 2030년까지 총 5년이다. AOTA는 1975년 설립되어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은 권위 있는 국제학회로, 미국갑상선학회(ATA), 유럽갑상선학회(ETA), 라틴아메리카 갑상선학회(LATS)와 함께 세계 4대 갑상선학회 중 하나로 꼽힌다. 이들 네 학회는 자매학회로서 5년마다 대륙을 순환하며 세계 갑상선학회를 공동 개최하고 있다. 현재 AOTA에는 5,600명 이상의 갑상선 관련 의사와 연구자들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안병철 교수는 대한민국에서는 세 번째 AOTA 회장으로 선출되는 영예를 안았으며, 향후 두 차례의 AOTA 학회를 개최하고, 2030년 유럽에서 개최될 제18차 세계 갑상선학회에서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을 대표
2025-06-27 06:45*보건의료정책연구실 의료인력 수급추계센터장△신정우 연구위원
2025-06-25 11:37대한신장학회는 2025년 6월 21일(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45차 국제학술대회(KSN 2025) 정기총회에서 회장과 차기 이사장 선거를 진행하고, 제41대 회장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이수봉 교수를, 제20대 차기 이사장에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신장내과 최범순 교수를 각각 선출했다. 회장으로 선출된 이수봉 교수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서 진료와 교육을 맡고 있다. 국내 신장질환 진료 지침 개발과 연구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해 왔으며, 학술과 정책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끌어 온 바 있다. 이 교수는 “의료 현장이 어려운 지금에도 콩팥질환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적 부담도 커지고 있다”며 “콩팥질환 환자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담아내고, 임상과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회장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임기는 금번 선출과 동시에 시작돼 2026년 6월까지 1년이다. 차기 이사장으로 선출된 최범순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은평성모병원 신장내과에서 진료
2025-06-25 10:49용인시의사회는 6월 17일 자로 이동훈 회장이 경기도의사회 권역부회장에 임명됐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지난 5월 22일 열린 경기도의사회 권역 회장단 모임에서 이동훈 회장이 광주, 성남, 양평, 여주, 용인, 이천, 하남 7개 시군으로 구성된 권역의 권역장으로 선출된 데 따른 것이다. 같은 날 개최된 경기도의사회 이사회에서는 홍승환 용인시의사회 총무이사가 정책이사로 임명되며, 용인시의사회는 경기도의사회 내에서 더욱 활발한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이동훈 회장은 “제27대 우종원 경기도의사회장 재임 당시, 부회장으로 참여해 전공의 복지 실태 조사를 진행한 적이 있었는데, 단순한 병원 방문만으로도 많은 개선이 이뤄졌다”며 “의사회의 관심과 참여가 실질적인 변화를 이끈다”는 점을 강조했다. 용인시의사회는 앞으로도 지역 보건의료의 중심으로서 책임을 다하고, 경기도의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의료 정책 개선과 의료계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
2025-06-23 10:28*국장급 파견△국정기획위원회 권병기△국정기획위원회 현수엽
2025-06-20 17:46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김강일 교수가 제35대 대한슬관절학회 회장에 취임했다고 전했다. 임기는 2025년 5월부터 1년간이다. 1983년 창립한 대한슬관절학회(Korean Knee Society)는 아시아에서?선도적인 무릎관련 학회로,?무릎관절 질환의 예방과 진단, 치료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슬관절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임상 수준 향상을 이끌고 있다. 특히 정기?국제학술대회와 국내외 교류를 통해 무릎관절 치료의 전문성과 표준화를 도모하며, 환자 중심의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다. 김강일 교수는 무릎관절에 있어 인공관절, 관절보존수술, 인공관절 주위?골절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필라델피아 Thomas Jefferson 의대 Rothman Institute, 보스톤 Harvard Medical School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일본 Kyushu 대학, Okayama 대학 등에서 연수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의 정형외과장, 관절류마티스센터장, 국제진료센터장, 협진진료처장, 적정관리실장, 심의조정처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2025-06-20 10:17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강신혁 교수가 대한뇌종양학회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전했다. 임기는 2025년 6월 13일부터 2026년 6월 27일까지다. 대한뇌종양학회는 1991년 대한뇌종양연구회로 출범해 올해로 창립 34주년을 맞은 뇌종양 분야 대표 학술단체다. 뇌종양 수술 및 치료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공식 학술지 발간, 국내외 학술대회 개최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강신혁 교수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첨단의생명공학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다. 또한 아시아 신경종양학회 이사회 임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질환심의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약하며 국내외로 활발한 연구와 국제적 학술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강 교수는 “대한뇌종양학회가 국내 뇌종양 분야의 학문적 성장을 선도해온 만큼, 앞으로도 근거기반의 다기관 공동연구와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학회의 위상을 더욱 높여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2025-06-19 1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