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보건복지가족위에 거는 기대

길고 긴 난항을 끝내고 드디어 원구성이 마무리 됐다.

보건의약계 출신 인사들의 대거 국회 진입으로 관심이 쏠렸던 보건복지위원회도 보건복지가족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위원수도 20명에서 24명으로 대폭 늘려 본격적인 가동상태에 들어갔다.

당초 비인기였던 복지위.
하지만 보건의약계 출신 의원들이 앞다투어 복지위를 희망하는 한편, 거물 정치인이 복지위를 지원하는 등 복지위의 인기는 높아졌다.

국회가 정상화 되기 전부터 보건의료 관련 개정법률안을 발의하는 의원, 보건정책 관련 연구단체 등을 조직하는 의원,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의원 등 복지위 입성을 노려 다양한 물밑 작업을 진행하는 의원들도 상당했다.

반면, 후배들에게 물 좋은(?) 상임위를 양보하기 위해서 라든지 큰 애착이 없는 의원들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복지위 위원으로써 맡은 바 책임과 의무를 다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복지위 구성이 마무리된 현재, 약 1/3가량이 보건의약계 출신들로 채워졌다.
이들은 각자 자신의 전문분야를 살려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보건의약계에서는 당연히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해당 직역의 특수성과 어려움을 공감할 수 있는 위원들이기 때문으로, 보건의약계를 둘러 싸고 있는 과도한 규제 철폐에 대한 희망감도 비춰지고 있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는 것은 어쩔수 없다.
대의보다 자신이 속한 직역의 이익만을 대변하게 될 때 거센 비판과 국민적 저항을 불러오게 됨은 자명한 일이다.
동전의 양면이다.

복지위 소속 위원으로써 보건의약계 출신의 전문성이 아무 잡음(?) 없이 빛을 발해야 할 것이다.
보건의약계 특정 단체들의 이익이나 이해 관계가 충돌하는 문제에 직면했을때 보건의약계 출신의원들은 ‘대의명분’이라는 칼을 전면에 내세워 자를 것인가 아니면 거둬들여야 할 것인지의 ‘묘’를 어떻게 살릴지는 각자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