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NOAC 원외처방 9.1%↑…릭시아나는 증가

2025-10-23 06:00:34

엘리퀴스, 자렐토, 프라닥사 등 주요 치료제 모두 하락세


주요 항응고제 치료제들의 원외처방액이 감소한 가운데 릭시아나가 유일한 상승세를 그리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주요 항응고제 오리지날 제품들의 원외처방은 2024년 3분기 1756억원에서 2025년 3분기 1597억원으로 9.1% 감소했다.

선두제품인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는 2024년 3분기 857억원에서 2025년 3분기 907억원으로 5.6% 증가하며 점유율이 과반 이상으로 올라섰다. 올 분기별 실적을 살펴보면 1분기 302억원, 2분기 296억원, 3분기 308억원을 각각 달성했따.

BMS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은 2024년 3분기 593억원에서 2025년 3분기 393억원으로 33.6% 감소했다. 원외처방액이 감소하며 시장 점유율도 33.8%에서 24.6%로 줄어들었다. 특히 올해 분기별 실적은 1, 2분기에 135억원대를 유지했지만 3분기에는 122억원대로 축소된 모습이었다.

바이엘의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의 원외처방은 2024년 3분기 232억원에서 2025년 3분기 227억원으로 감소폭이 2%로 적었다. 올해 분기별로도 75~76억원 규모를 유지하고 있었다.

특히 리바록사반 성분의 주요 제네릭들 (약 30개) 중 한미약품의 ‘리록스반’은 같은 기간 동안 원외처방액이 57억원에서 65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늘었다. 

또 삼진제약의 ‘리복사반’은 37억원에서 38억원으로 확대됐고, 종근당의 ‘리록시아’가 337억원에서 34억원으로 감소했고, 대웅바이오의 ‘바렐토’는 8억원대에서 10억원대로 규모를 확장시켰다. 

베링거인겔하임이 판매하는 ‘프라닥사(성분명 다비가트란)’은 2024년 3분기 73억원에서 2025년 3분기 68억원으로 7.9% 줄어들었지만 점유율은 4.2%에서 4.3%로 증가했다. 분기별로는 1, 2분기에 23억원, 3분기에 20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영희 기자 nyh2152@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