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사업단장 산부인과 조금준 교수)는 18일 본원 개방형실험실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제1차 스마트워크카페 자문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창업기업과 병원이 모여 실증과 사업화를 연계하는 협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된 이번 간담회는 양성일 전 보건복지부 1차관, 조금준 고려대 구로병원 연구부원장, 이민우 개방형실험실 운영사업단 부단장, 고영준 연구관리팀 부팀장, 이성현 연구교수와 스타트기업인 노보젠, 레브히트, 키가, 레듀모 등 디지털헬스 분야 스타트업도 참여했다.
간담회에서는 창업기업들이 보유한 디지털헬스 기술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진행됐다. 기업들은 병원의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 방안과 현장 중심의 피드백 반영 과정을 공유했으며,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은 기술 검증과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는 지원 체계 및 협력 구조를 제시했다.
또한 기술과 임상, 사업화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랫폼으로서 스마트워크카페의 역할이 강조됐다. 구로병원은 의료 현장에서 검증된 기술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기업들은 정례화된 자문단과 협업 체계를 통해 안정적인 실증 생태계가 마련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감을 나타냈다.
조금준 개방형실험실 사업단장(구로병원 연구부원장)은 “스마트워크 카페는 병원과 기업이 함께 실증하고, 현장의 피드백을 기술 개선에 반영하는 실질적 협업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이번 자문 간담회를 통해 정례 자문단으로 확대운영하고, 임상 검토와 사업화 전 과정이 긴밀히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은 의료 현장에서 검증된 기술이 신속히 확산될 수 있도록 힘쓰고 있으며, 실증과 임상에서 나아가 상용화까지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을 내부적으로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병원과 기업을 잇는 실질적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며, 연구 성과가 임상과 산업으로 이어지는 의료 혁신의 전초기지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은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스마트워크 카페 중심 현장 간담회 정례화, 외부 전문가 세미나 확대, 스타트업 맞춤형 자문체계 고도화 등 후속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실증 생태계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