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순 교수, 한국인 비만기준 BMI25 돼야

2022-03-15 11:06:03

대한비만학회 제55차 춘계학술대회서 기조강연
한국인 비만증가 추세와 비만 진단기준 명쾌히 제시

제55차 대한비만학회의 춘계학술대회가 3월 11일부터 12일까지 양일에 걸쳐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Comprehensive care for people with obesity’라는 대주제 아래 43개의 초청 강연과 48편의 구연 및 포스터 발표로 성황리에 개최됐다.


특히 올해로 창립30주년을 맞이하는 해에 초대 이사장을 역임한 울산의대 박혜순 교수가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Obesity in Koreans”라는 주제의 프레너리 강연을 통해 청중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강연에서 국내 비만의 꾸준한 증가 추세를 알리며, 특히 남성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30~50대의 중장년층에서 대략 50%이상이 비만으로, 이로 인한 합병증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경고했다.


비만을 진단하는 기준이 되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허리둘레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비만-관련 질환의 발생률, 사망률이 증가됨을 설명해 비만 진단 지표로서 BMI와 허리둘레의 중요성을 입증했는데 특히, 한국의 비만 진단기준이 BMI 25kg/m2 로 서구인보다 낮게 설정된 이유를 주요 연구결과를 통해 강조했다.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등의 다양한 연구결과를 분석해 한국인의 경우 서구인에 비해 BMI가 약 5kg/m2 낮은 수준에서 당뇨병, 고혈압 등 비만-관련 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여러 근거 자료를 통해 입증했다.


그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대한비만학회의 진단기준을 재확인했으며, 저체중<18.5, 정상체중 18.5-22.9, 비만전단계 23-24.9, 1단계비만 25-29.9, 2단계비만 30-34.9, 3단계비만 ≥35kg/m2의 분류와, 복부비만의 기준으로서는 허리둘레 남자 ≥90cm, 여자 ≥85cm가 합당한 진단 기준임을 명쾌히 제시했다.


또한 건보공단의 건강검진에서 서양인의 기준인 BMI 30kg/m2 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한 것에 대해 한국인에게 적절하지 않음을 모순점을 들어 설명했으며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해 한국인에게 적합한 비만진단기준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비만관리 및 치료에 국가와 사회의 역할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박혜순 교수는 “다른 만성질환의 진단기준은 질병의 합병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임계점을 기준으로 설정한데 비해, 비만은 합병증 발생 위험도를 간과하고 모든 사망이 혼재돼 있는 총사망률을 기준으로 정해 합당치 못하다”며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의 경우 진단기준 및 치료목표를 보다 엄격히 설정하는 추세인데 반해 비만은 느슨한 기준을 제시하여 비만 유병률 및 비만-관련 질환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국민의 질병을 관리하는 가장 권위있는 질병관리청과 전국민 검진을 통해 질병 및 위험요인의 조기 발견에 기여하겠다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정책과 위배된다”며 “국내의 비만대사수술 치료의 적응증이 합병증을 동반할 시 BMI 30kg/m2 이상으로 정하고 있는데, 마지막 치료 수단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수준이 돼야만 비만을 진단하고 관리하겠다는 것은 합병증이 진행될 때까지 방치하는 결과”라고 지적했다.


끝으로 박 교수는 비만의 다양한 치료와 중재에 대해 설명하면서 “한국인에서 증가 속도가 빠른 비만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만을 단순히 개인의 탓으로만 여길 것이 아니라 국가 차원의 강력한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락훈 기자 kuni1202@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