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진달율 늘었지만, 치료율 저조

2021-12-09 02:50:46

진단 후 여성 절반 이상, 남성 90% 이상 치료 안 받아
비스포스포네이트 잠재적 부작용 우려 영향 등

우리나라 사람들이 당뇨병에 비해 골다공증 치료에는 관심이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최용준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16~2017년, 2008~2009년 두 기간 동안 골다공증 진단 및 진단후 치료율의 변화를 확인했다. 조사대상은 50~59세, 60~69세, 70세 이상으로 나눠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골다공증 진단율이 2008~2009년 여성 29.9%, 남성 5.8%이고, 2016~2017년은 여성 62.8%, 남성 22.8%로 두 기간 간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시기 우리나라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 가장 많은 골밀도 검사장비가 도입됐으며, 아울러 국민 건강검진의 활성화 및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도입 등으로 골밀도 검사 횟수가 크게 늘면서 진단율 또한 함께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반면 이들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치료율을 살펴보면, 2008~2009년 여성 14.4%, 남성 3.8%에서 2016~2017년 여성 32.2%, 남성 9.0%로, 진단받은 환자 중 여성의 경우 절반 이상이 남성은 90% 이상이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또 다른 만성질환 중 하나인 당뇨병의 경우, 같은 기간 약 80%의 높은 진단율을 보였고, 진단받은 환자의 90%가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골다공증과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골다공증은 당뇨병에 비해 단기간 눈에 띄는 합병증이 적고, 골절 예방 및 골밀도 증가 등에 대한 단기간 약물 치료효과 확인이 힘들며, 골다공증 치료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지나친 우려 등의 이유로 치료율이 저조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분석했다.

최용준 교수는 “골다공증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골절이다. 심한 골다공증의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로도 척추압박 골절 등이 생길 수 있으며, 대퇴골 골절의 경우 사망률이 20%에 달하며, 회복되더라도 보행 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는 등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린다”면서 “골다공증의 진단 및 치료율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골다공증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50대 이상의 성인이나 65세 이상의 노인의 경우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를 받아야 하며, 진단을 받은 후에는 꾸준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골다공증 학회지(Osteoporos International) 9월호에 ‘Temporal chang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rates of osteoporosi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율의 장기 변화율 조사)’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신대현 기자 sdh3698@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