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 등과 함께 술을 마시게 되면 위장장애와 같은 뜻밖에 부작용 위험이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윤여표)은 감기약, 혈압약, 무좀약 등을 복용한 후에 술을 마시게 되면 위염 등 위장장애 및 위장출혈, 간 손상, 저혈압 등과 같은 부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음주를 반드시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반적으로 약을 복용한 이후 30분에서 2시간 사이에서 가장 높은 혈중 농도를 보이는 데 혈중 농도가 높을수록 약물의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성도 비례하는 만큼 이 시간대에 술을 마시면 부작용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위점막 자극의 부작용이 있는 아스피린 등을 복용한 이후 술을 마시게 되면 주성분인 알코올이 위장점막을 자극해 위산분비를 증가시켜 심한 경우 위출혈까지 발생할 수도 있다.
또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진정제, 수면제, 항경련제 등의 약물을 복용한 이후 술을 마실 경우 전신마취제나 수면제와 같이 중추신경을 억제하는 알코올의 효과와 결합돼 실제 약물의 효과보다 훨씬 강하게 나타나 호흡곤란과 저산소증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알코올은 간에서 분해되면서 숙취를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를 발생시킨다. 해열진통제, 무좀약, 고지혈증약 등 약물과 함께 술을 마시게 되면 해당 약품을 간에서 분해하는 능력이 떨어져 독성물질이 남게돼 간이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예를 들어 관절염, 두통, 근육통, 생리통 등에 사용되는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아스피린 같은 소염진통제를 복용한 이후 술을 먹게 되면 위장관출혈 등 출혈 부작용의 위험이 높아지며, 약물의 간독성이 증가돼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무좀약(케토코나졸 등)과 고지혈증약(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등)도 독성 간손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항혈전제(와파린등)는 복용 전후에 술을 마시면 위출혈 등 출혈부작용 위험이 높아진다.
혈압약(티아자이드 등)과 심장약(니트로글리세린 등)은 과도한 이뇨 탈수 작용으로 인해 신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과도한 저혈압으로 인해 어지럼증을 일으켜 보행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콧물감기, 알러지, 두드러기 등에 자주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페닐아민 등)를 복용한 후에 술을 마시면 졸림, 어지러움증 등을 훨씬 증가시켜 보행사고, 낙상사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의약품의 부작용과 사용상의 주의사항은 의약품 민원사이트(http://ezdrug.kf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