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러의 진화, 진피를 주사하다

2025-11-19 12:21:47

본 책에서는 ADM 필러의 정의, 기전, 임상적 유용성, 실제 시술 프로토콜, 다양한 농도·혼합 전략, 초음파 가이드 및 안전한 주사법을 종합적으로 다루며, 특히 목주름 및 tear trough와 같은 임상 난제 영역에서 ADM 필러가 제공하는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심도 있게 고찰하고자 한다.

무세포진피망(acellular dermal matrix, ADM) 주입술은 기존의 합성필러(예: 히알루론산, CaHA, PLLA, PDLLA 등)와 달리, 인체 유래 진피조직을 탈세포화(decullularization) 및 미세 분쇄(micronization)하여 개발된 재생 지향적 주사형 이식재이다. ADM 필러는 콜라겐, 엘라스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 및 다양한 성장인자(growth factors)를 포함한 세포외바탕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보존하고 있어, 단순한 체적 보강(volume augmentation)을 넘어 조직재생과 혈관신생, 그리고 세포침윤(cellular infiltration)을 유도하는 근본적 치유 기전을 갖는다는 점에서 기존 필러와 차별화된다. 새로운 시술을 소개하려니 설레이고 가슴이 벅차다.

특히, 목주름, 다크서클, 함몰성 흉터, 미세주름과 같은 얇은 피부 부위는 히알루론산 필러 시술 시 틴달현상(Tyndall effect), 비정상적인 부종, 혈관 합병증 등의 위험이 높은 부위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Human Injectable ADM (Hi-ADM) 필러는 진피-피하조직의 구조적 scaffold를 제공함으로써 얇은 피부에서도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효과를 나타내며, ECM remodeling을 통한 피부 질 개선(skin texture improve ment), 수분 보유력 향상, 장기적 콜라겐 합성 촉진 등의 부가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high-resolution ultrasound) 및 도플러(Doppler) 기반의 사전 플래닝 기법은 ADM 필러뿐 아니라 모든 시술에서 안전성과 정밀성을 한층 강화한다. 특히 infraorbital hollow, tear trough, 목주름과 같은 고위험 해부학적 부위에서는 혈관, 림프관, retaining ligament의 위치와 두께를 확인한 후 캐뉼라(cannula)를 이용한 저압·역행 주입(retrograde injection)을 시행하는 것이 안전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은이: 김종서
*판 형: 152*225
*쪽 수: 272
*출판사: 군자출판사
*가 격: 35,000
*발행일: 2025년 11월 15일 



김종서 medifonews@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