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한국 자궁경부암 2034년 조기 퇴치 가능성 제시

2025-09-24 08:48:50

HPV 검사 기반 선별검사 확대·백신 접종률 향상이 조기 퇴치 핵심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최귀선 교수 연구팀이 자궁경부암 선별검사와 인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 접종 전략을 분석한 결과, 현재 정책을 유지할 경우 자궁경부암이 2044년에 퇴치될 것으로 전망되며, 고위험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검사로 전환하고 백신 접종률 90% 달성시 2034년 조기 퇴치가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여성 약 2,600만 명을 대상으로 2100년까지의 HPV 감염과 및 자궁경부암 발생 과정을 반영한 수리모델링(dynamic modeling)을 수행하였다. ▲검진 시작 연령(20세·25세), ▲검진 간격(2·3·5년), ▲검사 종류(자궁경부세포검사·고위험 HPV 검사) 등 총 36가지 전략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현행 HPV 백신 접종률 75%와 국가암검진 수검률 51.5%(20세 이상 여성 대상 2년 주기 자궁경부세포검사)를 유지할 경우, 2044년에 세계보건기구(WHO) 퇴치 기준(발생률: 여성 10만 명당 4명 이하)을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WHO가 제시한 90%의 HPV 백신 접종률과 70% 수검률 목표를 달성하면 퇴치 시점을 2040년까지 앞당길 수 있다. 

다만 선별검사 방법을 고위험 HPV 검사로 전환하고, WHO가 제시한 90%의 HPV 백신 접종률과 70% 수검률 목표를 달성하면 퇴치 시점을 최대 10년 이상 앞당겨 2034년에 자궁경부암을 퇴치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60만 명이 새로 발생하고 34만명이 사망하는 대표적 여성암이다. WHO는 2020년 11월 세계보건총회에서 회원국 전원 합의로 ‘자궁경부암 퇴치’를 공식 채택하고, 2030년까지 ▲15세 이전 HPV 백신 접종률 90% ▲35세·45세 자궁경부암 검진율 70% ▲ 환자 치료 접근성 보장률 90% 라는‘90-70-90’ 목표를 제시했다. 자궁경부암 퇴치(Elimination of Cervical Cancer)는 단순히 모든 환자가 사라진다는 “근절(eradication)” 개념과는 다른 것으로, 자궁경부암이 더 이상 공중보건학적으로 중요한 위협이 되지 않는 수준으로 발생(인구 10만명당 4명 이하)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는 국가암검진사업으로 2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2년마다 자궁경부세포검사를 전액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검진사업에 힘입어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자궁경부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18.8명에서 12.3명으로 떨어졌다. 2016년부터는 만 12세 여아를 대상으로 한 HPV 백신 무료 접종을 시행해 2023년 기준 약 74%의 접종률을 보이고 있다. HPV 백신은 오래전부터 검증된 단백질 기반 백신으로 WHO, 미국 질병관리청(CDC), 유럽의약품청(EMA) 등 국제 기구에서 그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최귀선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이 자궁경부암 퇴치 목표에 얼마나 근접했는지를 보여주는 과학적 근거라며, HPV 백신 효과는 수십 년 후 나타나는 반면, 검진은 즉각적으로 암 발생을 줄인다”며 “국가가 주도하는 국가암검진 정책이 자궁경부암 퇴치의 핵심”이라고 강조하고 이 연구 결과는 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고위험 HPV 검사가 현재 국가암검진에서 제공하는 자궁경부세포검사에 비해 약 4배 정도 비싼 검사임을 고려할 때 국가암검진사업에 고위험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를 도입하는 안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8월 12일 세계적 의학학술지 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김준영 기자 kjy1230@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