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초거대 AI 확산 생태계 조성사업 착수

2025-07-15 16:33:52

근골격계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예측 가능한 AI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 첫 시도
AI 데이터 분야에서 전문·특화영역 선점...퇴행성 관절염 등 진단 정확성 제고 기대


서울대병원 컨소시엄이 AI 성능 향상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해 초거대 AI 확산 생태계 조성사업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고품질 보행 생체신호 데이터셋을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첫 시도로, 조기 진단이 어려운 근골격계 질환을 정량적 분석을 통해 조기 스크리닝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사업은 ‘2025년도 초거대 AI 확산 생태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NIA’)이 추진한다. 이 중 뷰티·헬스 분야에서 서울대병원 컨소시엄이 ‘근골격계 질환 생체 신호 데이터 구축사업’의 최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조민우 교수팀이 주관하는 이번 컨소시엄에는 ㈜피씨엔,  ㈜올빅뎃이 참여하며, 지원예산은 5억8천만 원이다. 그 외 연세대 스포츠과학 및 운동의학센터 정재우 교수팀, ㈜길온, ㈜탑메디컬이 협력사로 함께 한다.

착수보고회가 지난 9일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기술원에서 NIA와 함께 진행돼,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 자리에서 서울대병원 컨소시엄은 국가 차원에서 강점이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전문·특화영역을 선점하고 저비용·고효율 성능 고도화에 필요한 버티컬 AI데이터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고령화 사회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측기반 관리를 위한 고품질 보행 생체신호 데이터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사업은 퇴행성 관절염 환자와 일반인으로부터 보행패턴 및 생체신호 데이터를 센서를 통해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질환의 조기 진단과 스크리닝이 가능한 AI 학습용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과제로, 2025년 7월 1일부터 6개월간 진행된다.

사업은 데이터 수집, 정제, 구축, 검수로 진행된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와 일반인 총 200명 이상에게 스마트 인솔(I-SOL)을 착용시켜 보행데이터를 수집하고, 오류 등을 제거하는 정제과정을 거친다. 이후 IMU 센서와 보행매트를 활용해 임상 환경에서 정량적 지표를 측정하며, 이를 기반으로 서울대병원 컨소시엄이 고품질 AI 학습 데이터를 생산하고 최종 검수한다. 구축된 데이터는 AI 학습용으로 전처리 및 라벨링 후 AI Hub를 통해 개방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병원 외 실생활 기반 대규모·장기 데이터를 확보해 진단의 정확성 제고하고, 디지털 치료기기 및 예후예측 솔루션을 개발할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민우 교수(융합의학과)는 이번 사업의 총괄책임자로서 “이번 사업은 실생활 기반 보행 데이터를 활용해 고품질의 정량적 생체신호를 구축하고, 이를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 연계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조기 진단의 한계를 극복하고, AI 기반의 예측 가능한 근골격계 질환 관리체계 마련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김준영 기자 kjy1230@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