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제약사, 2024년 매출 대비 수출액 비중 11.6% 달성

2025-04-03 06:11:24

파마리서치, 연간 수출액 1000억원 돌파


에스티팜과 주요 에스테틱 회사들에서 수출액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자공시를 통한 각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4년 매출 상위 30위 제약사들의 수출액은 2023년 2조 1067억원에서 2024년 2조 4826억원으로 17.8% 증가하면서 매출의 11.6%를 차지했다.

매출 상위 5개사부터 살펴보면 유한양행은 2023년 매출의 13%인 2411억원에서 2024년 매출의 14.8%인 3064억원으로 수출액이 27.1% 증가했다.

녹십자는 수출액이 유한양행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2023년에는 매출의 16.8%인 2728억원에서 2024년에는 매출의 22.7%인 3806억원으로 39.5% 확대됐다.

반면 광동제약은 수출액 비중이 낮은 제약사에 속했는데, 2023년에는 매출의 1.3%인 203억원에서 2024년에는 매출의 1.2%인 189억원으로 7% 감소했다.

종근당 역시 수출액 비중이 높은 편은 아니었다. 이마저도 2023년 매출의 10.6%인 1763억원에서 2024년 매출의 4.7%인 742억원으로 57.9% 줄어든 모습이다.

한미약품도 수출 규모가 소폭 줄어들었다. 2023년에는 매출의 13.6%인 2026억원이 수출액이었지만 2024년에는 매출의 13.3%인 1988억원으로 수출액이 1.9% 축소됐다.

수출액 비중이 가장 높은 제약사인 에스티팜은 전년 대비 수출액이 소규모 증가하면서 매출 대비 수출액의 비중이 90%를 돌파했다. 2023년에는 매출의 87.2%인 2485억원이, 2024년에는 매출의 90.3%인 2488억원이 수출액으로 나타나면서 전년대비 0.1% 증가했다.

휴젤도 수출이 더욱 활발해졌다. 2023년 매출의 55.4%인 1769억원에서 2024년 매출의 60.4%인 2254억원으로 27.4% 확대됐다.

파마리서치는 2023년 매출의 35.6%인 928억원에서 2024년 매출의 36.9%인 1290억원으로 수출액이 39.1% 확대됐다.

반면 수출보다는 내수에 비중을 두는 제약사들도 많이 보였다. 하나제약은 매출의 0.3% 규모인 7억 2400만원이 지난 해 수출액으로 확인됐다. 2023년에도 하나제약의 수출액은 매출의 0.2%인 37200만원이었다.

환인제약도 비슷했다. 환인제약의 수출액은 2023년에는 매출의 0.9%인 20억원, 2024년 매출의 1.1%인 2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끝으로 JW중외제약에서는 2023년 매출의 4%인 297억원, 2024년 매출의 1.4% 98억원이 수출액으로 나타났다.



노영희 기자 nyh2152@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