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대체 요법(HRT)이 건강에 미치는 위험성에 여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최근 많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연구에서 갱년기 증상 치료를 위한 호르몬 대체 요법이 안전하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제시돼 주목을 끌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2002년에 발표됐던 연구 자료들이 재검토 됐는데 폐경기가 시작 된지 10년 이내에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은 여성은 폐경기 10년 이후의 여성이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는 경우에 비해 심장 질환 발병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발표한 미국 국립 심장, 폐 및 혈액 연구소장인 Jacques Rossouw 박사는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는 젊은 여성의 경우 유방암 및 뇌졸중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젊은 여성층의 경우 호르몬 대체 요법으로 인한 건강 악화 가능성은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낮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더라도 정기적으로 혈압을 확인하고 유방 방사선 촬영 검사를 받는다면, 갱년기 증상 치료를 위해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1990년대에 수행됐던 미국 여성 보건 연구의 원래 취지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여성의 심장 발작 예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었지만, 연구 결과 호르몬 대체 요법이 여성의 혈전, 심장 발작 및 유방암 발병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뜻하지 않은 결론이 유도됐다.
이로 인해 갱년기 증상을 가진 수백 만 명의 여성들이 호르몬 대체 요법 치료를 중단함으로써, 별다른 대안 치료 없이 안면홍조, 불면 등의 갱년기 증상에 계속 시달리게 됐다.
특히 2002년에 호르몬 대체 요법의 부정적인 면이 발표된 후, 여성 호르몬 대체 요법 치료제의 판매량이 급감했다.
그러나 이후로 호르몬 대체 요법의 득과 실에 대한 많은 의견들이 제시되면서 이제 막 폐경기에 접어든 여성의 경우는 호르몬 대치 요법이 위험하지 않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는 영향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폐경기가 시작된 후 세월이 많이 경과한 평균 63세의 여성 그룹과 45~55세 사이의 여성 그룹이 연구 대상이었는데, 2002년에 수행된 연구에서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틴 호르몬 치료에 관한 연구 결과와 에스트로겐 호르몬 연구 결과, 그리고 2004년 연구 결과가 함께 분석됐다.
연구진은 연구에 참여한 여성들의 연령층에 따라 50대, 60대 및 70대 3 그룹으로 폐경기 지속 기간에 따라서 구분했다.
연구 결과, 호르몬 대체 요법 치료에 따른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마다 상이했으며 또한 호르몬 대치 요법을 받는 여성의 나이가 많을수록 심장 발작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폐경기 여성 중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안면 홍조, 식은땀을 흘리는 경우가 많으며 고혈압,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유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제시됐다.
그러나 폐경기 여성 중에서 나이가 젊은 경우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심장 발작을 예방하는 효과가 약간 있으나 통계학적으로는 별다른 의미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생식의학 협회의 Robert Rebar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 건강한 여성의 경우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대체적으로 안전하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밝혔으며, 와이어스의 Joseph Camardo 박사 또한 “폐경기에 접어든지 얼마 안 되는 여성의 경우 호르몬 대체 요법이 안전하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논평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