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발병위험 예측하는 진단법 개발됐다

2020-12-31 09:19:28

뇌영상 바이오마커 데이터 추가해 정확도 높이는 연구 진행

양산부산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태영 교수와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 연구팀의 공동연구로 조현병 발병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을 조기 선별해서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진단법을 개발했다.

조현병은 발병 초기에 최대한 빨리 진단하고 치료가 시작될수록 예후가 좋다는 것이 밝혀진 이후 지난 20여 년간 정신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중재하려는 시도는 정신과 치료의 큰 흐름이 됐다. 

특히 조현병이 아직 발병하지 않았지만 이상감각이나 왜곡된 사고를 경험하는 고위험군의 경우 2~3년 이내에 30%가 조현병으로 발병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발병을 예방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정신증 발병 위험이 높은 고위험 집단 중에서 누가 발병을 할지 예측하는 일은 여전히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태영 교수와 권준수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정신증 발병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207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추적 조사했고 초기 임상증상 및 뇌기능 데이터를 이용해 발병을 예측하는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본 예측 모델을 이용해 대상 군을 발병 위험에 따라서 3가지 하위집단으로 분류했고 이들 중 특히 발병 위험이 높은 집단은 최대 82%의 발병률을 보여주었으며, 반대로 저위험 집단의 경우 수년간의 추적조사 기간에 아무도 발병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최근 역학조사에 따르면 조현병 등 정신증의 발병 위험이 높은 고위험 인구 집단은 대략 인구의 3% 정도 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이 모두 발병하는 것이 아닌 만큼 정말로 발병할 위험이 있는 이들만을 선별해 조기중재를 통한 질병예방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팀은 본 예측 모델은 정신과적 치료를 받아야 할지 애매한 경계 선상에 있는 성장발달기의 청소년 및 20대 청년들이 불필요한 치료를 받는 위험을 줄여주며, 반대로 발병이 임박해 꼭 치료를 받아야 할 초고위험 집단을 선별해 좀 더 집중적인 관리 감독과 치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태영 교수는 “현재 정신과 진단의 가장 큰 문제는 객관성의 확보이며, 환자분들에게 막연히 위험하다고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발병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면서 “그래야 맞춤형 치료가 행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현재 뇌영상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추가하여 모델의 정확도를 더욱 높이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뇌과학 원천기술 개발사업의 후원으로 진행됐고, 국제 학술지 ‘정신의학(Psychological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신대현 기자 sdh3698@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