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건강/웰빙

“혈관병 때문에 갑자기 생명 잃는 경우 없어야”

정확한 진단·치료로 절단 등 최악의 상태 막아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으로 대표되는 3대 만성질환은 우리 몸에 있어 가장 중요한 혈관을 위협하는 주범이다. 

급성심근경색 및 뇌졸중으로 대표되는 심장·뇌 질환, 그리고 대동맥 질환과 말초혈관 질환은 만성질환으로 인해 탁해진 혈액 속 혈전들이 심장혈관 및 뇌혈관, 그리고 대동맥 및 말초혈관을 막아 발생되는 것으로 우리의 생명을 노린다. 

결국, 막힌 혈관이 문제다. 

심장 및 뇌의 혈관은 길이가 짧아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만, 복부대동맥부터 말초혈관에 이르는 팔다리 혈관은 매우 길어 협착이 있다 해도 증상을 바로 알 수 없다. 이들 혈관이 막혀 다리가 붓고 저리며 보행이 어려울 정도의 극심한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혈관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 안형준 교수는 “복부의 대동맥에서부터 허벅지와 무릎 이하 발목, 발등, 발가락에 퍼져있는 말초혈관 질환은 고령화 및 각종 만성질환으로 인한 동맥경화로 상당히 오랜 기간 협착, 폐색 등을 일으킨다”며 “특히 동맥이 늘어나는 동맥류, 동맥이 막히는 동맥 폐색 등은 대동맥 파열과 다리 괴사 이전까지 큰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결국 심각한 상황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대표적인 대동맥 질환인 대동맥류는 지속적으로 혈관이 늘어져 파열될 때까지 큰 통증이나 증상이 없다. 혈관이 막혀 괴사를 일으키는 대동맥 폐색도 마찬가지다. 환자들 대부분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질환을 동반하고 있어 이들 질환을 치료하는 가운데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팔다리 혈관인 말초혈관 질환도 긴 혈관으로 인해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동맥경화로 인한 혈전들이 말초혈관 안에 쌓이면서 걷지도 못할 정도의 저림, 보행장애 등을 초래한다.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야 비로소 환자들은 병원을 찾는다고 안 교수는 안타까워했다. 

혈관질환의 진단에 있어 가장 기본은 초음파 검사다. 혈관 초음파를 통해 막힌 병변을 확인하고 혈관 구조를 영상 및 해부학적으로 파악한다. 추가로 CT, MRI 검사를 시행해 정확한 병변을 재확인한다. 

환자의 혈관 기능 소실 여부를 수치로 정확히 제시하는 혈관기능검사도 중요한데, 환자의 혈관 상태 및 기능을 정확히 계량해 수술 외 약물치료, 스텐트, 풍선확장술 등 여타 치료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의 혈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불필요한 치료를 줄이는 최소한의 치료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돕는 검사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안 교수는 “혈관질환은 대부분 응급환자다.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동맥 파열로 집에서 사망하거나 응급실에 오더라도 수술 도중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흡연자이고 비만이거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각종 만성질환을 동반한 50~60대 이상 고령층은 정기적으로 초음파를 통한 혈관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덧붙여 “혈관질환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되돌아올 수 없는 큰 후유증을 남기고 최종 사망에 이를 수 있다”면서 “조기 진단으로 최대한 치료 시기를 앞당겨 혈관병 때문에 갑자기 생명을 잃는 경우는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철학으로 안 교수가 이끄는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는 24시간 응급체제로 운영된다. 특히 실시간 운영되는 혈관기능검사실은 혈관검사 당일 치료방침을 세우고 치료를 바로 시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영상의학과, 신경외과, 내과 등 타 진료과목과의 협업은 기본이며, 모든 시술 및 수술 방법에 특화된 의료진의 다년간 노하우는 환자들에게 가장 잘 맞는 최적의 치료 술기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매우 낮은 절단율과 높은 수술 성공률로 이어진다. 

안 교수는 “동맥이 막히고 혈액순환이 안 되면 발의 괴사가 시작되고, 최적의 치료방침을 세우기 위해 세포 조직의 미세 혈류의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데, 영상검사만으론 확인할 수 없어 혈관기능 검사가 필요하다”며 “이런 점에서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는 미세혈류측정기, 혈관기능검사기 등 최신의 장비를 모두 구비하고 있고 현재 시행하고 있는 혈관검사는 국제학회 가이드라인에서도 유일하게 인정받은 진단법”이라고 자신했다. 

또한 “복부대동맥이나 말초혈관 질환 초기는 약물 치료나 혈관스텐트 치료가 가능하나, 진행된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자가 혈관이나 인조혈관 등을 이용해 동맥 우회로술을 하게 되는데, 특히 작은 혈관수술은 초음파로 수술할 혈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사용 여부를 결정하되, 가급적 자가 혈관을 사용해야 수술 성적이 좋다”고 말했다. 

덧붙여 “혈관질환을 병변을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동맥이 딱딱하게 굳어 수술이 어렵고 약물치료도 할 수 없다”면서 “병원 방문을 겁내지 말고 현재 상태를 정확히 진단받고 관리, 치료한다면 질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며 절단 등 최악의 상태도 막을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