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바이오헬스 분야 성장 위해 제도·규제 혁신 필요

진흥원, ‘바이오헬스 분야 융합기술 R&D 투자 동향 및 활용 실태 분석’ 보고서 발표

바이오헬스 분야의 다양한 융합기술에 대한 투자 및 집중도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나와 관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8일 ‘바이오헬스 분야 융합기술 R&D 투자 동향 및 활용 실태 분석’을 주제로 보건산업브리프를 발행했다.

본 보고서는 전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와 건강수요 증가로 주요 선진국들의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 선점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 및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주요 융합 신기술이 접목·활용된 제품의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헬스 분야 융합기술 활용 동향 전반을 파악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작성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보건산업혁신기획단 김영식 산업통계팀 팀원은 “’지능정보사회 종합대책(2016년)’,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2017년)’ 등의 내용이 발표된 해를 기점으로 4차 산업혁명 주요 신기술 이용률이 대규모 사업체(250인 이상)에서 대폭 증가했다”며 “바이오헬스 산업에서도 융합 신기술 활용을 적극적으로 사업화하려는 움직임을 본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8년 동 조사 기준 융합기술 적용 프로세스는 대다수 기초연구단계(31.5%), 실험단계(21.1%) 등 보건산업브리프 18 초기단계의 연구가 주를 이뤘다”며 “2019년 조사에서는 제품화단계(41.3%), 사업화단계(23.6%)가 대다수를 차지함에 따라 실제 융합기술 활용을 통한 제품 및 서비스의 국내외 시장 진출이 점차 가속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바이오헬스 산업 관련 14대 융합기술을 최근 3년간(2016~18년) 정부 R&D 투자 현황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과제 수는 1,186건이며 정부지원 연구비는 2,629억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2018년 기준 융합기술 R&D 투자에서는 ‘정밀의료’가 131억원으로 가장 많았지만 ‘유망신기술 및 선도기술 확보형(90억원)’, ‘인공지능 바이오로봇 의료 융합(24억원)’ 등 융합 신기술에 대한 지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처별 연구비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681억원으로 정부 R&D 투자가 가장 높았으며 보건복지부가 146억원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단 다부처 정부연구비는 2017년 78억원에서 이듬해 165억원으로 111.2% 확대되는 모습을 보여 다부처 투자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8년 867개의 업체 및 기관을 대상으로 융합기술 활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555개(64%) 업체가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 중 ‘빅데이터(32.2%)’, ‘유전자기술(14.8%)’, ‘바이오센서(12.9%)’, ‘모바일(12.8%)’, ‘인공지능(11.8%)’ 등에 대한 집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융합기술 관련 기업/기관의 총 종사자는 2018년 기준 77,396명으로 전담 인력 수는 9,734명으로 확인됐다. 산업별로는 제약산업이 평균 57.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산업(12.4명), 화장품산업(11.5명), 의료서비스산업(9.3명), 의료기기산업(9.1명)의 순으로 확인됐다.



바이오헬스 융합기술 활용 기업들의 주요 애로사항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초기투자비용의 부담’, ‘전문인력 부족’, ‘기술경쟁력 부족’ 등 기술 개발·도입에 직접적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 대다수 조사됨으로 관련 생태계 기반 조성이 미흡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지능형 반도체, 지능형 로봇, 인공지능, IOT가전 등 9개 국내 신산업 혁신성장 역량 중 바이오헬스는 타분야 대비 특히 미흡한 것으로 평가했고 가장 큰 약점과 위협요인으로는 미약한 산업생태계 기반과 함께 규제혁신, 창업 활성화, 과감한 M&A, 연구개발 투자 확대 등을 통해 빠르게 도약중인 중국의 부상이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김영식 팀원은 “국내 바이오헬스 분야 융합기술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개발 및 확보→창업/기술사업화→성장→회수→재투자 등 가치사슬 전반의 선순환과 각 기술별 수준에 기반한 적극적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며 “해당 기술 분야의 기업이 자립성장 및 성숙단계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전문인력 확충 및 글로벌 산업변화 추세에 따른 제도와 규제 혁신이 시의적절하게 존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