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플루옥세틴과 비타민 C, 뇌졸증 치료제 물질로 가능성 있다”

윤태영 교수, 중추신경계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접근법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로 현재 항우울제로 사용되고 있는 플루옥센틴과 비타민 C 결합한 복합제가 뇌혈관장벽(Blood Brain Barrier:BBB)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내용이 소개됐다. 

윤태영 경희대 의과대학 교수는 20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2018년도 제1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에서 ‘척추손상 및 허혈성 뇌졸증을 포함한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윤 교수는 “현재 뇌졸증 치료로는 혈전용해제인 tPA, 척수손상 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제가 전부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는 부작용이 워낙 커 현재 의료진 사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tPA도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중추신경계 치료제 개발 방향은 크게 ▲Glutamate receptor blocker ▲Ion channel modulators ▲Anti-inflammatory agents ▲Free radical scavengers 분류된다. 

이와 관련해 윤 교수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개발 방향은 설치류 동물실험에서는 효과가 좋았으나 임상단계에서 실패한 연구가 다수다. 국내 제약사에서도 이와 같은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제일약품의 PARP-1, 신풍제약에서 하고 있는 NMADA receptor antagonist 임상이 대표적이다. 현 단계에서 임상 결과를 속단하기는 이르나, 기존 glutamate receptor blocker 기전의 임상 중 아직까지 성공한 사례는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임상 실패율일 높은 방식에서 벗어나 윤 교수 연구팀이 주목한 방식은 ‘BBB disruption(뇌혈관 장벽 파열)’ 막는 것이다. 

윤 교수가 설명한 발표에 내용에 따르면, 중추신경계 모세혈관에 발달돼 있는 뇌혈관 장벽 파열을 막을 수 있다면 중추신경질환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뇌혈관 장벽 파열을 막을 수 있는 물질로는 기존에 항우울제로 쓰이는 플루옥센틴이다. 

이와 관련해 윤 교수는 “척수손상이 일어나면 모세혈관(capillary)에 있는 BBB disruption이 일어난다. 혈관 세포 내 밀착연접(tight junction)이 매우 발달돼 있는데, (척수손상으로 인해) tight junction이 깨지면서 MMP(metalloproteinase)가 활성화되면서 세포 내 밀착연접(tight junction)이 깨진다. 그 결과 세포 안으로 면역세포(neutrophil 등)가 유입된다. 그 결과 염증을 유발시키고, 결국 세포사멸을 일으켜 영구적으로 운동기능을 마비시키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플루옥세틴은 MMP(metalloproteinase)의 활성화(activation)를 억제한다. 그 결과 BBB disruption을 막아줘 결국 침투(infiltration)되는 면역세포들을 들어오지 못 하게 해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고 말했다. 

뇌졸증과 관련해서 윤 교수는 “플루옥세틴을 처리(treatment)한 연구 결과 허혈(ischemia) 상태에서도 12시간까지 플루옥세틴의 치료효과가 나타났다. 즉, 환자가 골든타임 2시간 내에 오지 않아도 시간을 벌 수 있다는 굉장히 중요한 결과를 보여준 것이다”고 설명했다. 허혈(ischemia)은 조직, 장기의 산소수요에 대해 그 공급원인 혈류가 절대적 또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플루옥센틴과 함께 윤 교수는 비타민 C에도 주목했다. 

이와 관련해 윤 교수는 “최근 여러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된 비타민 C 연구결과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이와 함께 BBB disruption도 막아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됐다”고 덧붙였다. 

윤 교수는 연구를 통해 플루옥세틴 및 비타민 C 동시 치료의 MMP-9 활성 억제 효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윤 교수는 “극미량의 비타민 C 또는 플루옥세틴을 각각 단독 처리했을 때 MMP-9 단백질의 활성 정도가 음성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에 비해 극미량의 비타민 C 또는 플루옥세틴을 동시 처리했을 때 MMP-9 단백질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 특허를 출원하고 관련 논문을 출판한 상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