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블록체인으로 의료데이터 통합‧교류가 어려운 이유는?

중구난방 서식‧기록과 데이터 거버넌스의 부재 때문

현재 우리나라 의료 현실에서는 불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데이터를 통합하고 정보를 교류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김주한 교수(서울의대 의료정보학)는 대한병원협회 2018년 계간지 봄호에 기고한 ‘블록체인 기술과 의료계 활용방안’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김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이 의료기록의 ‘원본성 보장’과 의료 물류정보, 의료보험 청구정보, 임상시험 및 연구정보의 ‘투명성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임은 자명하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들은 의료서비스의 본질적 영역은 아니다.”라고 했다.

본질적 영역은 의료데이터의 통합과 교류인데 현 상황에서는 어렵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특히 ‘건강기록과 의료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올리면 데이터가 통합되고 정보교류가 가능하다’는 항간의 주장은 기초도 모르는 넌센스다. 그것은 ‘의료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올리면 통합된다.’는 황당한 주장과 동급의 탁상공론이다.”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의료데이터의 ‘통합’과 ‘교류’가 어려운 것은 중구난방 서식에 어떤 데이터가 기록되는지조차 모르는 무지와 데이터 거버넌스의 부재 때문이다. 여러 병원에 정보시스템이 흩어져 있기 때문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대형병원은 5천 가지도 넘는 의료서식에 정보를 기록한다. 직원 수보다 많다. 병원마다 서식이 제각각일 뿐 아니라 수시로 변경돼 버전이 몇 개인지 아무도 모른다.”고 했다.

‘블록체인으로 의료데이터를 사고파는 장터를 만들겠다.’는 구상은 더 뜬금없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스마트 계약으로 권리 조정은 가능하겠지만, 데이터 통합과 상호 운용성 없이는 살 수도 팔수도 없다. 사고파는 게 뭔지 알아야, 사든 팔든 할 수 있다. 또한 공개장부인 블록체인과 건강정보 프라이버시 보호는 상극이다. 민감한 제도적 윤리적 문제는 덤이다.”라고 했다.

반면 의료소비자 주도형 의료체계 구축은 가능해 진다.

김 교수는 “블록체인의 ‘개인건강기록’ 원본성 보장 능력으로 의료기록을 환자에게 돌려주는 환자중심 데이터 통합과 소비자 주도형 의료체계 구축이 가능해진다. 병원-의사-환자-보험자 등으로 분절된 ‘정보체인’을 온전히 연계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블록체인 활용을 통한 의료분야의 여러 가능성을 전망했다. 

김 교수는 “난제였던 의료전달체계도 재건 가능하다. 의료시스템의 군주인 중앙집중형 의료보험은 굵직한 것에만 수가로 보상할 뿐, 세세한 영역까지 돌보지 않는다. 마땅히 환자를 돌봐야할 보험이 환자보다 군주 자신을 돌보는 탓이다. 암호화폐를 통한 분산형 인센티브는 보험자 비효율성을 타파하고, 공동체의 세세한 건강활동을 양방향 네트워크로 촉진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데이터 거버넌스 수립으로 암호인공지능 도우미 생태계가 꽃피울 것이다. 지난 반세기에 걸쳐 진화한 의료정보 데이터기술이 PC, 인터넷, 모바일,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하며 제2의 인터넷 혁명을 재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