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오프라벨 면역항암치료를 바라보는 엇갈린 시선들

암 치료 패러다임이 화학요법에서 표적치료, 그리고 면역항암치료까지 순식간에 변화되어 오고 있다. 암 치료기전이 다르거나 효과가 향상된 치료제의 개발이 이어지며 의료진은 의료진대로, 환자는 환자대로 각자의 입장에서 좀처럼 흥분을 가라앉히기 힘들다.


혁신적인 신약이 한 국가에 도입되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는 데까지는 일정 정도의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한국과 같이 국가에서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상당한 비율로 책임지고 있는 경우라며 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


그러나 목숨이 경각에 달린 암환자들의 입장은 과연 그럴까? 암환자에게는 혁신 신약의 보험 등재 요구도 요구지만, 비용이 얼만가 들던지 상관없으니 오프라벨 처방이라도 받을 수 있게 해달라는 게 사실상 그들의 바람이다.


최근 도입된 면역항암제의 경우에는 완치를 위한 치료제가 아닌 수술 후 전이나 질병이 진행된 환자에서 생존기간 연장이 목적인 만큼, 말기 암환자들 입장에서는 다급하고 절실할 수밖에 없다.


국가의 입장에서는 환자의 약물접근성을 고려하면서도 최소한의 안전망을 갖추기 위해 허가초과 사용승인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하루가 아까운 환자들에게는 다학제위원회의 사전 승인과 심평원의 심의로 1달 이상 걸리는 이 기간은 천금과 같은 시간이다.


그렇지만 다학제위원회의 검토는 생략될 수 없는 과정이다. 면역항암제를 실제 진료 환경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몇몇 암 관련 과들은 이제서야 면역항암제의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초안을 잡기 시작했다.


지난 2월 열린 간암학회에서는 면역항암제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병변의 진행을 판단할 수 있는 영상자료의 해석 방법부터 영상 프로그램의 정비 그리고 무엇보다 면역항암제의 부작용을 명확히 규정하고 판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수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제껏 사용해온 치료제와는 다른 기전으로 암을 치료하는 만큼, 면역반응에 따른 병변의 가짜진행(pseudoprogression)을 판별해내야 하고, 전신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나는 부작용 또한 그 종류와 대처법을 정립해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부작용에 대한 명확한 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이상 전신에 걸친 이상반응을 제때 조치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다학제위원회가 존재하는 병원에서 약물을 투여하고 감시해야 한다는 게 암전문의들의 주장이다.


누구 하나 틀린 말이 없다. 한편, 작년 9월부터 시작해 최근 최종 협상 단계에 접어든 허가초과사용승인제 개선 방안에는 일정 조건을 갖춘 기관에 한해 오프라벨 ‘사후승인제’를 신설하고, 다학제위원회 미설치기관에서의 오프라벨 처방을 위한 ‘공용다학제적위원회’의 설치가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전문가 집단과 환자단체, 정부기관이 머리를 맞대고 개선 방안을 구상한 만큼, 환자의 약물접근성과 안전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무엇보다 암환자의 간절함이 배려될 수 있는 최종안이 나오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