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박지욱의 medical trivia

노벨상을 받은 “시험관 아기”

 

 

박 지 욱

제주시 박지욱신경과의원

신경과 전문의

<메디컬 오디세이> 저자

한미수필문학상 수상(2006년, 2007년)

 

 

 

 

 

노벨상을 받은 “시험관 아기”

 

 

 

 

 

2010년 12월 10일에 노벨상 시상식이 있었다. 오슬로에서 열리는 평화상 시상식을 제외하면 주된 시상식은 스톡홀름에서 열리는데 올해는 어찌 된 일인지 국내 언론의 관심이 중국 정부의 반대로 참석하지 못한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의 ‘빈 의자’ 시상식 때문에 오슬로로 쏠렸다. 이런 관심의 쏠림 현상으로 2010년 노벨상 수상자는 ‘류사오보 외 10명’이라고 해도 될 것 같다.
하지만 스톡홀름의 시상식에서도 또 한 명의 불참자가 있다는 사실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바로 생리학-의학 부문 수상자인 에드워즈(Robert G. Edwards; 1925~)이다.
그는 시험관 아기의 아버지-생물학적 아버지가 아니라 학문적인 아버지-였고, “체외수정(IVF)의 개발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이것은 1978년에 최초의 시험관 아기가 태어난 지 40년도 지난 일이다. 그의 수상 소식이 발표되자 마자 종교계와 보수적인 단체들이 40년 전과 마찬가지로 즉각 반박 성명을 냈는데, 이러한 해결되지 못한 논란 때문에 이제껏 그의 수상자 지명이 미루어졌을 것이다. 오늘은 시험관 아기의 탄생, 그 10개월이 아닌 훨씬 더 긴 역사를 이야기하려 한다.

 

 

시험관에서 아기가 태어나나? 

 

솔직히, 나는 그런 줄 알았다. 1978년 여름에,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다고 하길래 당시 초등학교 6학년이던 나는 ‘시험관 속에 담긴 아기’를 떠올렸다. 끔찍하고도 우습겠지만 생물 표본실이나 과학 학습관에서 보았던 표본 이미지를 떠올린 것이다. 의과대학에 들어와 산부인과학을 배우고 나서야 시험관에서 아기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수정란 혹은 난자와 정자가 들어가는 것이라고 알게 되었다. 그나마 시험관이란 연상 작용을 떨쳐버린 것도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부끄러운 일이다. 의사라는 사람이 그 정도도 몰라서야…
‘체외 수정 기술’ 즉 IVF가 ‘in vitro fertilization’의 약자라는 것은 다 알고 있다.
여기서 in vitro 는 in vivo 즉, ‘생체 내부’라는 뜻의 상댓말이다. vitrto는 유리를 뜻하는 라틴어로,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유리로 된 용기’ 즉, 시험관, 비이커, 시계접시를 말한다. IVF에서는, 시험관보다는 정자와 난자의 수정이 일어나는 ‘시계 접시(patri dish)’일 것이다. 하지만 영어로 된 보도자료들은 모두 “test tube baby”라는 말을 사용하였고, 이를 그대로 우리말로 번역하니 ‘시험관 아기’라는 말을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최초로 IVF에 성공한 사람은 하버드대학교의 핀커스(Gregory Pincus; 1903~1967)이다. 그는 토끼의 난자를 채취한 후 몸 밖에서 수정시킨 다음, 다른 토끼의 자궁 즉, 대리모에 착상시켜 출산에 성공했다. 이때가 이미 1930년대 후반이었다. 핀커스의 성공에 용기를 얻은 동료이자 불임 연구자인 락(John Rock;1890~1984)은 그 방식을 이용해 1944년에 처음으로 인간의 체외수정에만 일단 성공하게 된다. 이것은 불임 부부들에겐 큰 희망이 되었지만, 종교계와 보수적인 관점에서는 크나큰 충격이었고 이미 이때부터 ‘신성 모독’에 대한 거센 논란을 불러 일으킨다.

 

이후로 락은 IVF 연구를 중단하고 먹는 피임약 연구로 방향을 틀었고 핀커스는 난자의 성숙 연구에 매진하지만 진전을 보진 못했다. 채취한 난자가 충분한 시간을 거쳐 성숙되어야 수정이 가능한데 이 시간을 알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25년이 지나서 그 골든 타임이 45세의 캠브리지대학교의 젊은 생리학자 에드워즈(1960년)에 의해 밝혀진다. 에드워즈는 락의 실패로부터 시작했다. 동물 실험에서는 수술로 자궁과 난자를 떼어내어 난자를 채취한 후 대리모의 자궁을 사용했지만, 임신하려고 찾아온 여성에게 그 방법을 사용할 수는 물론 없었다.
자궁관의 폐색으로 난자가 자궁으로 들어갈 수 없는 산모들의 불임을 해결하기 위해선 난소로부터 난자를 잘 뽑아내는 일이 중요한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울덤종합병원 부인과 의사이자 복강경 전문가인 스텝토(Patrick Steptoe; 1913~1988)가 등장한다. 
1968년부터 두 사람은 함께 연구를 시작한다. 많은 수의 난자를 배란시키기 위해 임신 촉진제를 사용하고, 복강경으로 이를 채취하여 배양기에 두고(in vitro) 정자를 놓아두면 수정(fertilization)이 일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짐작하듯 이렇게 말처럼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이 두 사람은 서로 180마일이나 떨어져 있었고, 이 거리를 에드워즈가 자동차로 오갔으며, 스텝토를 불러오기 위해 신청한 연구비는 윤리적인 문제의 논란이 있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 하지만 이 두 사람은 학문적 동거를 시작했고 스텝토는 연구비를 마련하기 위해 아르바이트도 마다하지 않았다.

 


최초의 시험관 아기

 

1971년의 첫 시도는 실패였다. 1975년에는 임신에 성공하지만 자궁 외 임신으로 실패했다. 드디어 1978년 여름, 자궁관 폐색으로 인한 불임 여성이었던 레슬리 브라운이 제왕절개시술을 통해 2.6Kg의 건강한 아기를 낳게 된다. 이 장면은 TV로 중계되어 전 세계를 깜짝 놀래킨다. 스텝토와 에드워즈가 만난 지 10년 만의 일이고 100번 이상의 실패 끝에 얻은 성공이었다.

 

 

 

 

교황청은 “자연의 섭리를 거스른 악의 근원”이라며 강하게 비판했고 여론도 그리 우호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하지만 이후로 그들은 더 많은 시술과 전문가 교육을 위해 1980년에 Bourn Hall Clinic을 열었고 많은 의사들이 에드워즈와 스탭토의 IVF를 좇아왔다. 유럽 인간생식-태생학회에 따르면, IVF로 태어난 아기들이 10년 만에 3만 명을 넘었고, 2002년에는 20만 명이나 될 정도였다. 또,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 40년 동안 다양한 보조생식술(ART)을 통해 태어난 아기 수는 300만 명으로 추정된다고 한다.6)

 


시험에 든 시험관 아기

 

지난달, 영국에서는 11살 차이가 나는 쌍둥이 자매의 출현이 화제가 되었다. 1998년에 IVF로 14개의 난자를 수정시킨 한 여성이 이들 중 2개를 이용해 쌍둥이를 낳아 잘 길러오다가, 최근에 남은 난자를 이용해 세 번째 딸을 얻은 것이다.
11살 터울이 나는 어린 쌍둥이 동생을 안고 있는 11세 소녀들의 사진을 보니 ‘이건 좀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든다. 내막을 잘 알 수는 없지만 불임의 고통과는 좀 거리가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럴만한 여유만 있다면 앞으로 정자나 난자를 냉동시켜 놓았다가 원하는 시기에 해동시키는 세상이 올까 좀 두렵기도 하다. ‘우리의 편리나 돈벌이 수단으로 이런 기술이 사용된다면?’ 하는 것이 바로 우려되는 점들이다. 수년 전 우리나라를 뒤흔들었던 인간 배아세포를 둘러싼 충격적인 스캔들이나, 공공연한 비밀이 되어버린 난자 매매와 대리모 문제들. 그 모든 것들의 시작이 바로 IVF이기는 한데, 그렇다고 에드워즈의 잘못이라고 하기는 곤란하다.
결국 그것을 비윤리적인 것, 상업적인 것, 종교계와 보수적인 시각에서 우려를 자아내게 만드는 것은 모두 우리 후대 과학자와 의사들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에드워즈와 스텝토, 핀커스, 락… 그들은 신의 은총이자 축복인 아기를 불임 부부들에게 안겨주려고 노력한 것뿐인데 말이다. 스텝토가 우리들에게 남긴 말이 예리하게 가슴을 파고든다.

 

그는 과학자였고 나는 의사였소.
우리 둘은 해결이 불가능해 보이는 불임 부부들을 돕고자 했소.
그래서 했지, 그 외 뭐가 더 필요하겠소?”

 

참, 스텝토에겐 왜 노벨상을 주지 않을까? 1988년에 이미 사망했기 때문이다. 돌아가신 분은 수상자가 되지 못하는 원칙 때문이다. 에드워즈도 영국 정부의 구금(?)이 아니라 건강상의 문제로 시상식은 물론 언론 인터뷰도 하지 못할 정도라니, 85세 고령인 점까지 감안하면 이번이 노벨상 후보자가 될 마지막 기회였는지도 모른다. 건강이 하루빨리 회복되어 소감이나 한번 들어 봤으면 하는 마음이다.


 

[출처]디아트리트 VOL.11, NO.1